[Equity] 무상증자

Jongjin Na·2022년 10월 13일
1

EQUITY

목록 보기
1/12
post-thumbnail

무상증자

무상증자란 글자 그대로 주식 대금을 받지 않고 주주에게 주식을 나누어주는 것을 말한다.

Equity

무상증자 목적:

--

무상증자 장단점:

무상증자 이점

⭕ 기업의 이미지

기업의 자본 구조는 크게 자본금과 잉여금으로 나뉜다. 무상증자는 잉여금을 이용해 주주들에게 주식을 나눠주는 것이다. 기업의 자본금은 증가하고 잉여금은 감소한다. 자본 총액의 변화는 없다.

무상증자를 한다는 것은 잉여금이 있다는 의미로 기업의 재무구조가 튼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업은 무상증자를 통해 자신들의 재무구조가 건정성을 보여주어 기업 이미지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는다.

⭕ 주식의 유동성 증가

무상증자를 통해 주식 수가 늘어나고, 주당 가격의 하락함으로 주식의 유동성이 증가된다.

⭕ 주식의 배당 증가 및 가치 상승 가능성

주식 수가 증가하면서 배당을 많이 받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주식의 유동성이 높아지고, 많은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으로 주식의 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무상증자 단점

⭕ 주당 가치 하락

권리락으로 인한 주당 가치의 하락이 있다.

무상증자 절차:

  1. 이사회 or 주주총회의 결의

  2. 배정기준일 설정 및 공고(생략 가능)

  3. 배정기준일 이후 무상증자 신청

권리락

무상증자의 권리락은 무상교부권(무상증자를 통해 신주를 교부받을 수 있는 권리)이 없어진 것을 의미한다.

가격 조정은 다음과 같다.

> 권리락 전일 종가 * (증자 전 주식 수 / 증자 후 주식 수)

권리락일은 배정기준일 1 영업일 전이다.


예시

피에스케이_319660 KS:

2022.09.05. 주요사항보고서(무상증자결정)

피에스케이 주요사항보고서(무상증자결정) 2022.09.05.

⭕ 신주의 종류와 수: 14,483,357

⭕ 증자전 발행주식총수: 14,483,357

⭕ 신주배정기준일: 2022.09.22.
신주를 교부받을 주주명부를 결정하는 일자
주주명부에 이름이 올라가기 위해서는 신주배정기준일 2 영업일 전에 주식을 사둬야한다.
9월 20일에는 잔고에 피에스케이 주식이 있어야 무상증자를 받을 수 있다.

⭕ 1주당 신주배정 주식수: 1
위 1, 3번을 통해 확인할 수 있지만, 1주당 1개의 신주를 부여한다는 의미다.
즉 권리락 이후 가격은 (권리락일 종가 * (1/2)) 임을 알 수 있다.

⭕ 신주의 상장 예정일:2022.10.20.

⭕ 신주의 재원: 주식발행초과금 167,800,313,009원
앞서 설명한 잉여금의 종류를 의미한다.

2022.09.05. 주요사항보고서(무상증자결정)

피에스케이 권리락(무상증자) 2022.09.20

피에스케이는 2022년 9월 20일까지 주식을 보유한 주주들에게 무상증자를 하며,
권리락일은 2022년 9월 21일이다. 권리락 발생 후 주가는 16,800원이다.

> 33,600(9.20. 종가) * 0.5(28,966,714 / 14,483,357) = 16,800

피에스케이는 2022년 9월 21일 16,950원으로 시작했다.

profile
안녕하세요. 나종진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