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quity] NDF

Jongjin Na·2022년 10월 20일
1

EQUITY

목록 보기
8/12
post-thumbnail

Equity는 아니지만 적어보는 NDF

NDF

만기에 계약원금을 교환하는 선물환거래와는 달리 계약선물환율과 만기시 현물환율과의 차이만을 정산하는 거래

Equity

현물환

거래일로부터 2영업일(Value Spot Date)에 결제가 이루어지는 외환매매 거래이나 고객이 원할 경우 거래일 당일(Value Today) 또는 거래일 익영업일(Value Tomorrow) 결제 거래로 스왑 이자율을 가격에 반영하고 거래가능

선물환

특정외화를 장래의 특정시점에 특정환율로 매매할 것을 약정하고 2영업일이 경과한 때부터 결제일을 정하는 거래(통상 1년 이내) cf. 규격화된 상품이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금융선물(Futures)과는 구별되는 개념

NDF(Non Deliverable Forward, 차액결제선물환)

만기에 계약원금을 교환하는 선물환거래와는 달리 계약선물환율과 만기시 현물환율과의 차이만을 정산하는 거래


NDF 생성과정

  • THB, KRW, CNY 등 자본거래 제한 및 국제적 유동성이 결여된 통화에 대한 환리스크 헷지 및 투기거래 목적으로 홍콩, 싱가폴, 런던 및 뉴욕 등에서 시장이 형성
  • KRW의 경우 외국인 주식투자한도 확대로 원화강세 가능성이 높아지자 환헷지 필요성 때문에 거래량이 증가했으며, 99년 4월 국내 외국환은행과 비거주자와의 선물환거래가 허용되어 투기거래도 증가하면서 전체 NDF거래량이 증가해왔음

NDF 특징

  • 만기에 차액만을 결제하므로 일반 선물환계약에 비해 만기시 결제리스크가 상대적으로 작으며, 따라서 투기거래에도 유리
  • 만기시 현물환율은 통상 만기일 전 영업일자 매매기준율(만기일 제2영업일전일자 시장평균환율)이 적용
  • 실제 통화가 거래되지 않고 타국에서 매매가 이뤄지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세금이나 각종 제도적 규제를 피할 수 있음.

NDF 목적

역외세력, 즉 외국 은행이나 외국인 투자자들이 많이 함.
그 이유는 우리나라 원화 표시 금융자산에 투자한 외국인 중 환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환 헤지를 해도 직접 원화를 주고받는 것을 원하지 않는 투자자들이 많이 있음. 또한 실수요 목적이 아니라 단순히 환율 전망을 기초로 외환 거래를 하는 투기적인 외국인 거래자들도 많기 때문.

NDF 사건

‘헤지펀드의 대부’ 조지 소로스는 지난 1997년 싱가포르 NDF시장에서 원화와 태국 바트화 등을 대량 매도해 아시아 외환위기를 촉발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NDF와 현물환의 관계

외국환 은행들에 대한 규제를 통해 역외 시장의 매도를 막으려는 것은 해외 역외시장에서 달러를 팔고 원화를 사들이는 거래가 서울 외환시장의 달러 매도로 이어지는 외환시장 구조 때문이다.
해외 역외시장에서 외환시장 참가자들이 달러를 매도할 경우 외국환은행들은 통상 이를 NDF 선물환 포지션을 매입하게 된다. 외국환 은행들은 이를 스와프시장에서 '선물환매도-현물환매수(Buy&Sell)로 위험을 회피하려 한다. 그 결과 외국환 은행들이 역외 투자자와의 거래를 통해 계약한 NDF 선물환 포지션과 스와프시장의 선물환매도가 상쇄되고 현물환 매수 포지션만 남게 돼 이 포지션들을 청산하기 위해 외국환은행들이 달러를 매도해 서울 외환시장의 환율 하락세로 이어진다.

예시

USD/KRW 거래
현물환율: 1000원/1$
선물환율: 1100원/1$
만기현물환율: 1200원/1$
1달러 기준으로

현물환 매수

현재 달러 매입
+1$
-1000원

선물환 매수

미래 달러 매입
+1$
-1100원

NDF 매수

미래 차액 수취
차액 (1100-1200)/1200 = -0.08333...
0.08333$ 지급
결제는 달러 기준으로.

Ref

달러 대거 매도한 국민연금…환율 고점으로 봤나

Citi Bank

서울외국환중개은행

원/달러 역내현물환시장과 역외NDF시장간의 인과관계

profile
안녕하세요. 나종진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