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잔틴 제국에 두 명 이상의 장군들이 적군을 무찌르기 위해 동시에 공격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를 분산 시스템에 대비해 제시한 문제점
레슬리 램포트와 쇼스탁, 피스가 공저한 1982년 논문에서 처음으로 언급, 적군의 도시를 공격하려는 비잔티움 제국의 부대가 지리적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각 부대의 지휘관들이 전령을 통해 교신하며 공격 계획을 세우는 상황을 가정하고 있음. 부대의 지휘관 중 일부는 배신자가 석여있을 수 있고 , 배신자는 규칙을 따르는 충실한 지휘관들과 달리 맘대로 행동할 수 있음. 이 때 배신자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충직한 지휘관들이 동일한 공격 계획을 세우기 위해서 충직한 지휘관들의 수가 얼마나 있어야 하며, 이 지휘관들은 어떤 규칙을 따라 교신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
악의적인 사용자들에 의해 해킹이 되거나 공격 당할 경우
분산 처리 시스템에서 어떤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통신의 문제가 발생하거나, 악의적으로 데이터를 조작하여 가짜 정보를 전달할 경우 시스템은 어떻게 올바른 정보를 가져올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
-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는 그 누구도 신뢰할 수 없음
비잔티움 장군 문제는 어떤 사용자가 악의적으로 데이터를 변경했을 경우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를 제기한 내용
- 이러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합의 알고리즘 존재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