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 기초 #2

jjinny_0609·2023년 1월 10일
0

JavaScript

목록 보기
2/9

숫자와 문자열 사이의 변환

prompt() 함수

사용자에게 어떤 사항을 알려주고 사용자가 답변을 입력할 수 있는 윈도우를 화면에 띄운다.
★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문자열로 반환한다.

※ 주의 ※
프롬프트는 항상 문자로 입력받기 때문에 정수로 바꾸려면 parseInt()이용해서 받아오는 값을 정수형으로 바꿔줘야함

prompt("(창에 대한 설명)","(입력부분에 대한 설명)");

prompt 라는 함수에 값 저장됨

변수와 선언과 동시에 사용도 가능

var age=prompt("나이를 입력하세요","만나이로 입력합니다.");

덧셈 예제 #1

parseInt() : 문자를 정수로 변환시켜준다.

		"3"		3입력		
		input = prompt("정수를 입력하세요.");
		3=		"3" : parseInt는 문자열 "3"을 숫자 3으로 변환해주는 함수		
		x = parseInt(input);	//숫자로 타입캐스팅
		"4"		4입력			
		input = prompt("정수를 입력하세요.");
		4=		"4" : parseInt는 문자열 "4"을 숫자 4으로 변환해주는 함수		
		y = parseInt(input);	//숫자로 타입캐스팅
		
		document.write(x+y,"<br>");

결과는 7이 출력


덧셈 예제 #2

function 함수 선언, *사용자정의 함수

function 원하는 함수명(){
}
ex)

function add(){
}

함수 호출도 함수명으로 호출함.
add();

예제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함수 선언, *사용자정의 함수 
	function calc(){
		var x = document.getElementById("x").value;
		// getElementById: id선택자 -> id가 x인걸 선택, 입력된 값(value)을 가져와라
		// .value 안하면 input 태그 전체로 잡힘.
		// 첫번째 정수 값
		var y = document.getElementById("y").value;
		// 두번째 정수 값
		var sum; 
		sum = parseInt(x) + parseInt(y);
		// input type="text"에 있는 모든 값은 문자로 받아오기 때문에 타입캐스팅 해줘야함 ★
		document.getElementById("sum").value = sum;
		// 변수 sum에 있는 값을 id="sum"에 값을 넣어라
	}
</script>


HTML 요소에 접근하기

예제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getElement2</title>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func(){
			var e = document.getElementById("test");	//var를 통해 선언된 변수는 지역변수로 만들어 지지만, 암묵적으로 선언된 변수는 항상 전역변수로 선언된다.
			e.style.color = "red";
		}
</script>
</head>
<body>
	<h1 id="test">This is a heading.</h1>
	<button type="button" onclick="func()">클릭하세요!</button>
</body>
</html>


클릭전

클릭후


덧셈 뺄셈 나눗셈 곱셈이 되는 계산기 만들기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prac</title>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plus(){
			var x = document.getElementById("x").value;
			var y = document.getElementById("y").value;
			var plus = parseInt(x) + parseInt(y);
			document.getElementById("result").value = plus;
		}
		function minus(){
			var x = document.getElementById("x").value;
			var y = document.getElementById("y").value;
			var minus = parseInt(x) - parseInt(y);
			document.getElementById("result").value = minus;
		}
		function na(){
			var x = document.getElementById("x").value;
			var y = document.getElementById("y").value;
			var na = parseInt(x) / parseInt(y);
			document.getElementById("result").value = na;
		}
		function gop(){
			var x = document.getElementById("x").value;
			var y = document.getElementById("y").value;
			var gop = parseInt(x) * parseInt(y);
			document.getElementById("result").value = gop;
		}
	</script>
</head>
<body>
	<h3>계산기</h3>
	<form action="..." action="myform" method="get">
		첫번째 정수 : <input type ="text" id="x"><br>
		두번째 정수 : <input type ="text" id="y"><br>
		계산 결과 : <input id="result"><br>
		<input type="button" value="+" onclick="plus();">
		<input type="button" value="-" onclick="minus();">
		<input type="button" value="/" onclick="na();">
		<input type="button" value="*" onclick="gop();">
		<input type="reset">
	</form>
</body>
</html>


완성 결과!


쇼핑몰에서 상품의 개수를 입력할 때 사용하는 폼 (예제)

<!-- +버튼을 클릭하면 값이 1 증가하고 - 버튼을 클릭하면 값이 1씩 감소하는 버튼(form) -->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Insert title here</title>
	<script>
		function up(){	
			var num = document.getElementById("text").value;
			// 8번 설명 : 어떤 값이 들어가든 text안에 있는 값으로 조절하기 때문에 들어가야함
			document.getElementById("text").value = ++num;
		}
		function down(){
			var num = document.getElementById("text").value;
			document.getElementById("text").value = --num;
		}
	</script>
</head>
<body>
	<!-- +버튼을 클릭하면 값이 1 증가하고 - 버튼을 클릭하면 값이 1씩 감소하는 버튼(form) -->
	
	<form>
		갯수
		<input type="text" id="text" value="0">
		<input type="button" value="+" onclick="up();">
		<input type="button" value="-" onclick="down();">
	</form>
</body>
</html>

자바스크립트 선택자

document.getElementById : id선택자
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 : class 선택자
document.getElementByTagName() : 태그(요소) 선택자

queryselector 사용법

document.getElementById("sum").value = sum;
위 내용을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음.
queryselector("#sum").value = sum; // id = #

조건문

어떤 조건이 만족되었을때만 문장을 실행함
if, if-else, switch 문

if 문

형식 : if ( 조건식 ) 
	  문장;

설명 : 조건식이 참인 경우에만 문장이 실행된다.

예제)

	var greeting="Good Morning!!";
	var time=11;
	
	if(time<12) // time 12:00 적으면 (조건식)
	{
		alert(greeting); //"Good Morning"을 greeting에 대입하는 코드(문장)
	} 

if-else 문

형식 if( 조건식 )
	문장1;
       else
	문장2;
설명 만약 조건식이 참이면 문장 1이 실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문장2가 실행된다.

예제)

	var time = 13;
	if(time<12) { // time 12:00 적으면 (조건식)
		alert("Good Morning!!"); //"Good Morning"을 greeting 출력
	} else {	// 그렇지 않으면 "Good afternoon"을 greeting 출력
		alert("Good afternoon!!");		
	}

연속적인 if 문

형식 if(조건식)
	문장1;
       else if(조건식)
	문장2;
       else
	문장3;

예제)
	var time=18;
	if(time<12){  // time 12:00 적으면 (조건식)
		alert("Good Morning!!"); //"Good Morning" 출력
	} 
	else if(time<18){	// time 18시 이전이면(조건식): 12 ~ 17
		alert("Good Afternoon!!");
	} else {	// 그렇지 않으면 "Good Evening" 출력
		alert("Good Evening!!");		
	}

자바스크립트 기초 #3 이어서..

profile
뉴비 개발자 입니다. velog 주소 : https://velog.io/@jjinny_0609 Github 주소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