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로그인 후 가장 처음 들어가본 서비스클라우드 가상 머신을 통해 크기 조정이 가능한 컴퓨팅 용량을 제공한다고 한다.아직은 뭔 말인지 잘 모르겠다.EC2를 클릭하면 나오는 대시보드(뭐가 많군)서비스 구축을 하기위해 인스턴트를 만든다.나는 왕왕왕 초보니까 프리티어 사
PuTTY를 다운받아줍니다.인스턴스를 시작하고 할당 받은 IP(퍼블릭 IPv4)를 복사해줍니다.그리고 PuTTY에 IP정보를 넣습니다.아까발급 받은 key파일도 넣어줍니다. (잃어버리면 안되는 파일입니다..) 그리고 open!접속이 되면 계정명을 입력해줍니다.기본 설정
저는 깃헙으로 자동배포를 해 볼 생각입니다. 회사 업무상 코드이그나이터가 필요해서 공부하는 김에 서버에 배포하는것까지 하려했는데 이왕 하는김에 자동배포까지 해보는 것으로 결정. 우선 지난번에 이어서 프로젝트를 서버에 올려보려고 합니다. 우선 로그인. 다음 ssh키
드디어 큰 프로젝트를 끝내고 서버에 올리려한다!! 원래는 vercel에 올릴려고 했다. 근데 그동안 해보고싶었던 github actions를 이용한 자동배포를 이용해 서버에 올려볼까 한다. 이전에도 해봤지만 확실한 이해가 없고 사용을 안하니까 자꾸 까먹는다.ㅠㅜ 이참에
이번에 IAM을 검색해줍니다. 바로 사용자 생성 버튼을 볼 수 있는데요. 클릭해줍시다! 사용자 이름을 입력해주고, 권한 옵션은 직접 정책 연결, 권한 정책은 AmazonS3FullAccess를 선택해줍니다.
드디어 github actions다! 나는 master에 push 액션이 일어날때마다 자동으로 AWS S3에 배포가 되도록 설정할 것이다. 먼저 github의 setting으로 들어가준다. (repository의 setting이다.) Secrets and Va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