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S3 버킷 만들기

Jean Young Park·2024년 12월 8일
0

AWS

목록 보기
4/6

드디어 큰 프로젝트를 끝내고 서버에 올리려한다!!
원래는 vercel에 올릴려고 했다. 근데 그동안 해보고싶었던 github actions를 이용한 자동배포를 이용해 서버에 올려볼까 한다. 이전에도 해봤지만 확실한 이해가 없고 사용을 안하니까 자꾸 까먹는다.ㅠㅜ 이참에 확실히 내 것으로 만들어야겠당

우선 aws 프리티어를 이용할꺼니까 회원가입을 먼저 했다. 솔직히 ec2에 해보고 싶지만 아직은 흘러가는 흐름을 좀 더 이해하고 싶어서 난이도가 조금 낮은 s3를 이용하려한다.😥

aws 계정 만들기

먼저 계정을 만들었다. 이건 어렵지 않으니까 팻수!

S3 버킷만들기

S3의 원래 용도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정적 웹 호스팅에도 적합하다고 한다. 나는 따로 서버사이드 로직이 없고 API나 DB 연동이 없기 때문에 S3를 사용해도 될 것 같다고 판단했다 :)

먼저 검색창에 s3를 검색하여 들어간다.(마우스 호버하면 나오는 버킷 텍스트 클릭!)

그럼 이런 화면으로 이동하는데 버킷 만들기 클릭!


버킷 이름을 설정해준다.
그리고 버킷의 퍼블릭 액세스 차단 설정을 해제 해주고 하단의 퍼블릭 상태가 될 수 있음을 알고 있다에 체크!

만들어진 버킷의 속성으로 들어가서 제일 하단에 있는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편집 버튼을 클릭한다.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을 활성화 해주고 인덱스 문서와 오류문서를 index.html로 지정해준다.
그럼 버킷의 웹 사이트 엔드포인트가 생성된다!


버킷 ARN을 복사한 후에 정책 생성기 클릭!

그럼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정책 타입을 s3로 선택 해주고 이미지 동일하게 진행하면된다.
actions는 GetObject를 선택해주면 된다.
그리고 복사한 ARN을 붙여주고 뒤 /*를 작성해주면 된다!
정책 생성을 하고 복사한 후에 정책란에 복붙해주면 퍼블릭 엑세스가 가능해진다!

AWS 용어 간단 정리

1. 버킷 (Bucket)

의미
AWS S3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컨테이너
S3 버킷은 디스크상의 폴더처럼 동작하며, 객체(파일)를 저장, 관리, 또는 삭제할 수 있는 최상위 단위

특징

  • 유니크한 이름: S3 버킷 이름은 글로벌하게 고유해야한다.
  • 하나의 AWS 계정에서 여러 버킷을 생성할 수 있다.
  • 버킷에는 권한 설정, 버전 관리, 데이터 암호화 등의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 리전(region) 단위로 생성된다.

2. 객체 (Object)

의미
S3 버킷에 저장되는 파일 단위의 데이터
객체는 단순히 파일 데이터뿐만 아니라, 메타데이터(파일 속성 정보)와 유니크란 식별자인 키(key)를 포함한다.

특징

  • 객체는 버킷에 저장되며, 커빗 +키 조합을 통해 고유하게 식별된다.
  • 파일 크기는 최소 0바이트부터 회대 5TB까지 가능
  • 객체는 본문(Data)과 메타데이터로 구성된다.
    • 데이터: 파일의 실제 내용 (예: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파일 등)
    • 메타데이터: 데이터에 대한 추가 정보 (예: 생성 날짜, 파일 형식 등)
  • 객체는 폴더 구조가 아닌 키 네임스페이스로 관리된다.
    예를 들어, folder1/image.jpg처럼 계층적으로 보이는 이름도 단순 문자열 키일뿐이다.

  • 키(key): images/photo.jpg
  • 메타데이터: Content-Type: image/jpeg
  • 데이터: 실제 이미지 파일

IAM 설정은 이어서 하겠습니다! -> IAM 설정하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