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p주소란?
2. IPv4 vs IPv6
3. 서브넷과 서브넷 마스크
4. 라우팅이란?
5. Public IP vs Private IP
6. 라우팅 프로토콜-RIP, OSPF, EGP, BGP
7. IP 할당 방식
8. NAT이란?
9. ICMP란?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각 기기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한 번호이다. 현재 IPv4의 IP 주소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IPv4
- 8비트씩 4부분, 총 32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 네트워크 부분의 길이에 따라 A클래스에서 E클래스까지 총 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 .으로 구분된다.
IPv6
-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16비트식 8부분, 총 128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 콜론 : 으로 구분한다.
서브넷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영역을 부분적으로 나눈 부분망, 부분 네트워크를 뜻한다.
서브넷 마스크
-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 32비트의 숫자로 ‘1’의 비트는
네트워크 부분
을 나타내고 ‘0’의 비트는호스트 부분
을 나타낸다.
10진수 표기법: 192.168.0.1/255.255.255.0
CDIR 표기법: 192.168.0.1/24 (왼쪽부터 나열된 1의 수가 24개라는 뜻)
위 두 경우 모두 IP 주소가 192.168.0.1이고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이라는 의미이다.
공인 Public IP > 할당주체: ISP
- 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IP주소로 외부에 공개되어 있는 IP주소이다.
- 공인 IP는 전세계에서 유일한 IP 주소를 갖는다.
사설 Private IP > 할당주체: 라우터(공유기)
- 일반 가정이나 회사 내에 할당된 네트워크의 IP
- IPv4의 부족으로 서브넷팅 된 IP이기 때문에 라우터에 의해 로컬 네트워크 상의 PC나 장치에 할당된다.
- 사설 IP 주소만으론 인터넷에 직접 연결할 수 가 없고 라우터를 통해 1개의 공인(Public) IP만 할당하고, 라우터에 연결된 개인 PC는 사설(Private) IP를 각각 할당 받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라우터 간 통신 방식을 규정하는 통신 규약이다.
종류로는,
1. IGP (RIP, OSPF)
2. EGP
3. BGP 가 있다.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 하나의 자율시스템(AS) 내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EGP (Exterior Gateway Protocol)
- 자율시스템(AS)간의 라우팅. 즉, 게이트웨이 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BGP (Border Gateway Protocol)
- 자율시스템(AS)간의 라우팅 프로토콜로 EGP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 초기에 BGP 라우터들이 연결될 때에는 전체 경로 제어표(라우팅 테이블)를 교환하고 이후에는 변화된 정보만을 교환한다.
컴퓨터에 IP를 할당하는 방식은 2가지가 있다.
1. Static 방식
: 내가 사용하고 싶은 IP를 직접 입력해서 할당하는 방식이다.
2. DHCP 방식
: DHCP는 프로토콜의 한 종류로 , 호스트들의 IP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역할을 한다.
DHCP 통해 IP 할당받는 과정
1. DHCP Discover
= Host가 DHCP 서버가 어디에 있는지 찾고 IP 할당을 요청
2. DHCP Offer
= Host에게 요청 Ip와 Host의 MAC 주소를 같이 보냄
3. DHCP Request
= DHCP Offer를 통해서 IP를 할당받으면 그 IP를 사용하겠다고 DHCP 서버에 확정 메세지를 보냄
4. DHCP Ack
= DHCP 서버에서 DHCP Request를 받으면 다시 ACK를 보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