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컴퓨터 네트워크란? 2.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달 방식 3. 프로토콜 스택 4. OSI 7 Layer 계층 5. TCP/IP 계층 6. 네트워크 계층 모델 장단점 7. 라우터 vs 스위치 컴퓨터 네트워크란? 컴퓨터들 간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목차 1. 웹브라우저의 구조 2. HTTP 프로토콜이란? 3. HTTP 서버클라이언트 구조 4. HTTP 무상태성 Stateless 5. HTTP 메서드 6. HTTP 상태코드 7. HTTP 헤더 8. HTTP Keep-Alive 9. HTTP 파이프라이닝 10. HT
목차 1. HTTPS란? 2. SSL/TLS 및 SSL Handshake 3. HTTPS 암호화 과정 4. 대칭 키 vs 비대칭 키 5. DNS 란? 6. DNS 작동 방식 7. DNS query 종류 8. DNS가 UDP를 사용하는 이유 9. DNS 레코드란? 10.
그림출처패킷 기반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다. 데이터 링크 계층, TCP와 같은 패킷의 신뢰성 있는 전달이 필요할 경우 사용된다.슬라이딩 윈도우 프로토콜은 일정한 윈도우 크기 내에서 한번에 여러 패킷을 송신하고 이를 패킷에 대하여 단지 한번의 ACK를 보내 수신 확인을
목차1\. ip주소란?(2. IPv4 vs IPv6(3. 서브넷과 서브넷 마스크(4. 라우팅이란?(5. Public IP vs Private IP(6. 라우팅 프로토콜-RIP, OSPF, EGP, BGP(7. IP 할당 방식(8. NAT이란?(9. ICMP란?(IP 주
쿠키와 세션 쿠키란? 쿠키는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입니다. 사용자 인증이 유효한 시간을 명시할 수 있으며, 유효 시간이 정해지면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인증이 유지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쿠키는
쿠키와 세션 쿠키란? 쿠키는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입니다. 사용자 인증이 유효한 시간을 명시할 수 있으며, 유효 시간이 정해지면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인증이 유지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쿠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