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와 관련된 공부를 진행하다 보면 타임 스탬프라는 단어를 접할 수 있다.
그대로 직역하면 시간 도장 이라는 의미인데 말 그대로 특정한 시점에 도장을 찍는다고 보면 될 것 같다.
IT 에서는 일이 발생해서 컴퓨터에 기록된 시간을 의미하는데, 주로 어떤 일이 발생한 시간을 비교하거나 두 작업 사이에 어느정도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한다.
Timestamp을 콘솔 웹으로 출력하면 다음과같이 출력된다
console.log(doc.data().creationTime);
// Timestamp { _seconds: 1618381810, _nanoseconds: 792000000 }
이렇게 date 객체가 아닌 다른 형식으로 출력된다.
Timestam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date객체로 변환해줘야하는데
firestore 에서 명령어로 지원해주는 .toDate() 라는 명령어를 사용한다.
다음과 같이 불러와보자
console.log(doc.data().creationTime.toDate());
// 2021-04-14T06:30:10.792Z
date.formatDate(doc.data().creationTime.toDate(), 'YYYY-MM-DD HH:mm');
//2021-04-14 1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