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L 구조

Protocol
도메인: IP를 사람이 쉽게 기억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로 만든 주소
- IP: Host 네트워크 주소
- Host: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 ( ex: 컴퓨터 )
- Hostname: host의 이름
- Domain name: 그룹명
- 도메인: Domain name + Host name
-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을 머신이 읽을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
- A (Address Mapping Records) 레코드 타입 : 도메인 주소를 IP로 매핑시키는 형태의 레코드
- 장점: 한번의 요청으로 찾아갈 서버의 IP 주소를 한번에 알 수 있다
- 단점: IP가 자주 변경되는 환경에서는 번거로울 수 있다.
- CNAME (Canonical NAME) 레코드 타입 : 도메인 주소를 또 다른 도메인 주소로 매핑 시키는 형태의 레코드 타입
- 장점: IP 주소가 자주 변경되는 환경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 단점: 실제 IP 주소를 얻을 때까지 여러번 DNS 정보를 요청해야 한다
- EX )
type | name | Value |
---|
A | google.com | 172.17.0.1 |
A | local.google.com | 172.17.0.1 |
A | dev.google.com | 172.17.0.1 |
A | naver.com | 192.168.0.1 |
CNAME | local.naver.com | naver.com |
CNAME | dev.naver.com | naver.com |
- IP 주소 변경시
- 172.17.0.1 ⇒ 172.17.0.3
- 172.17.0.1에 연결된 name을 모두 변경해 주어야 한다.
- 192.168.0.1 ⇒ 192.168.0.3
- A레코드 타입으로 매핑해 두었던 naver.com만 변경해 주면 된다.
- IP 주소 요청시
- dev.google.com 해석 요청
- 172.17.0.1 리턴
- dev.naver.com 해석 요청
- naver.com 리턴
- naver.com 해석 요청
- 192.168.0.1 리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