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정신없이 지내오다가 오랜만에 글을 작성하는 것 같다. 어느덧 부트캠프를 진행한지 135일이라는 시간이 지났다. 4개월을 채우고 5개월을 채워가는 중이다. 어쩌면 부트캠프 종료까지 얼마남지 않은 시점에 서있다.
코드스테이츠에서 프리프로젝트로 스택오버플로우(stackoverflow)
클론 코딩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끝도 없이 보였던 나의 부족한 부분을 봤다. 하지만 어떤가. 신입 개발자도 아닌 취업 준비생으로 부족한 점을 깨닫고 또 한번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을 만들어 나갔으면 된 거아니겠나!
라고 생각하고 싶지만 모든 기능을 구현하지 못했고, AWS상에 파일 빌드 시 에러 가 발생한 것을 결국 해결하지 못해 배포하지 못해서 프론트 분들이 완성해놓은 페이지를 클라우드 상에서 구현하고 테스트 해보지 못한 점에 있어서 너무 아쉽다
우리팀은 사정상 프론트 3명 백엔드 2명으로 진행됐다. KPT형식으로 회고를 작성해보자
Problem에서 작성한 것 처럼 ERROR 2002 (HY000): Can't connect to local server through socket '/tmp/mysql.sock' (2) 에러를 만나고 mysql과 mariadb를 거의 2~30번 초기화, 삭제, 재설치를 반복했다.
mysql을 hombrew에서 삭제하고 mariadb만 삭제후 재설치를 했다. 그리고 mysql -u root -p
를 사용해서 mariadb에 짐입할 수 있었다. 왜 아직 Mysql을 설치했을 때는 동일한 오류가 발생하는지 원인은 찾지 못했다.. 찾고싶다
AWS RDS와 EC2의 초기 셋팅을 경험해봤다. 비록 앱 실행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했지만 발생 원인만 찾는다면 꽤 쏠쏠한 경험치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SpringSecurity상에서 로그인한 유저 정보를 UserDetials
인터페이스로 받아왔는데 이것을 mockMVC에서 직접 생성하여 테스트를 진행해서 정보를 받아올 수 있었다. 하지만 postman에서는 테스트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해서 공부가 필요하다.
postman상에서 테스트와 cloud에도 배포하지 못해 프론트코드와 연동하지 못해본 점은 매우 아쉽다.
Question Entity에서 @Size
나 @Column(length=)
를 사용했어야했는데 @Min()
으로 작성해서 문자의 최소길이가 아닌 숫자의 최솟값 범위를 지정해 둔 적이 있다.. ㅋㅋㅋㅋㅋ 에러메세지를 보고 왜 길이가 안맞지? 하면서 Entity파일을 보다가 어이가 없었다,,
메인 프로젝트 때는 에러가 발생했을 때와 모르는 것이 있을 때 혼자 해결해보는 것도 좋지만 내가 시도해본 방식과 에러현황을 정리해서 멘토분과 동기들에게 질문하고 함께 해결책을 찾아보는 방법으로 진행을 해봐야겠다. 그리고 블로깅도 꼭 조금씩이나마 쓰면서 로그를 남겨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