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회원가입 페이지를 만들어서 그 회원정보를 DB에 저장하는 방법들과 그 동작 순서와 원리들을 학습하고 있다.이때 DBMS 에 접근하여 쿼리문을 작성하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었던 것은 ojbdc6.jar 에 내장되어 있던 Connection, PreparedSta
회원정보 수정 페이지에서 기존에 회원가입 페이지에서 사용했던 Tag의 reset Type을 사용했더니, 부분적으로만 리셋된다는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래서 reset Type 의 범위를 살펴보았다. Form Tag내에서만 한정적으로 기능한다는 점을 알
게시글 수정을 하면서 어제 코드가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 원하는 기능을 (비밀번호 체크 및 활성화) 추가 및 수정하는 작업을 시도했을때, 가장 크게 느꼈던 점은 아직 내가 전체코드의 구조에 익숙하지 않다는 점이었다. 단순히 보고 따라 써보고, 이게 어떤 방식
처음에는 바로 만들 수 있을줄 알고 바로 코드에 손을 댔었고,그렇게 실패를 겪고나서는어떻게하면 로직을 완성 시킬 수 있을까방법적인 부분들을 순차적으로 정리해서 나열해봤다.그 와중에 기능이나 특징으로 인해서 구현할 수 없었던 부분들은 새로 만들거나계획을 수정을 해서 시도
처음에 회사에 입사해서 코드를 살펴봤을때,남아있는 레거시 코드가 많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아무리 찾아도 없어서하나하나 실제로 구현해놓고 테스트하는 과정을 거쳐서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수 밖에 없었어요.이해가 안되는 프로세스들은 컨트롤러 로그 하나하나 디버깅해가면서 어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