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silver3] 퇴사(14501)

이민선(Jasmine)·2023년 5월 19일
1
post-thumbnail

문제

상담원으로 일하고 있는 백준이는 퇴사를 하려고 한다.

오늘부터 N+1일째 되는 날 퇴사를 하기 위해서, 남은 N일 동안 최대한 많은 상담을 하려고 한다.

백준이는 비서에게 최대한 많은 상담을 잡으라고 부탁을 했고, 비서는 하루에 하나씩 서로 다른 사람의 상담을 잡아놓았다.

각각의 상담은 상담을 완료하는데 걸리는 기간 Ti와 상담을 했을 때 받을 수 있는 금액 Pi로 이루어져 있다.

N = 7인 경우에 다음과 같은 상담 일정표를 보자.

1일에 잡혀있는 상담은 총 3일이 걸리며, 상담했을 때 받을 수 있는 금액은 10이다. 5일에 잡혀있는 상담은 총 2일이 걸리며, 받을 수 있는 금액은 15이다.

상담을 하는데 필요한 기간은 1일보다 클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상담을 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서 1일에 상담을 하게 되면, 2일, 3일에 있는 상담은 할 수 없게 된다. 2일에 있는 상담을 하게 되면, 3, 4, 5, 6일에 잡혀있는 상담은 할 수 없다.

또한, N+1일째에는 회사에 없기 때문에, 6, 7일에 있는 상담을 할 수 없다.

퇴사 전에 할 수 있는 상담의 최대 이익은 1일, 4일, 5일에 있는 상담을 하는 것이며, 이때의 이익은 10+20+15=45이다.

상담을 적절히 했을 때, 백준이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수익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 (1 ≤ N ≤ 15)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Ti와 Pi가 공백으로 구분되어서 주어지며, 1일부터 N일까지 순서대로 주어진다. (1 ≤ Ti ≤ 5, 1 ≤ Pi ≤ 1,000)

출력

첫째 줄에 백준이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7
3 10
5 20
1 10
1 20
2 15
4 40
2 200

예제 출력 1

45

예제 입력 2

10
1 1
1 2
1 3
1 4
1 5
1 6
1 7
1 8
1 9
1 10

예제 출력 2

55

예제 입력 3

10
5 10
5 9
5 8
5 7
5 6
5 10
5 9
5 8
5 7
5 6

예제 출력 3

20

예제 입력 4

10
5 50
4 40
3 30
2 20
1 10
1 10
2 20
3 30
4 40
5 50

예제 출력 4

90

나의 코드

from sys import stdin as 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s = open("input.txt", "rt")  # 주석 처리해야 하는 부분

n = int(s.readline().strip())

schedule = []
for i in range(n):
    schedule.append(list(map(int, s.readline().split())))

# N과 T의 범위를 고려하여 최대 21번째 인덱스를 참조하게 됨을 고려.
dp = [0] * 21

# 마지막 날부터 거꾸로 메모이제이션
for i in range(n, 0, -1):
   # 잔여 일수 계산
    rest = n - i + 1
   # 오늘 주어진 상담을 할 경우 소요되는 일수 계산
    time_cost = schedule[i - 1][0]

   # 잔여일수 < 소요일수일 경우 오늘의 상담 불가능. 거꾸로 DP이므로 내일 이익에 오늘 이익 = 0 합산.
    if rest < time_cost:
        dp[i] = dp[i + 1]
   # 잔여일수 >= 소요알수일 경우 오늘의 상담 가능. 오늘의 상담 할지 말지 결정
    else:
   # 오늘의 상담을 결정하면 time_cost일 후의 이익에 오늘의 이익 합산, 오늘의 상담 포기하면 내일의 이익에 오늘의 이익 = 0 합산
        dp[i] = max(dp[i + time_cost] + schedule[i - 1][1], dp[i + 1])

print(dp[1])

조건에 따른 점화식만 잘 파악하면 크게 어려움은 없는 문제였다.
수식 편집기에서 내 나름대로 점화식을 만들어봤다.
http://www.sciweavers.org/free-online-latex-equation-editor

잔여일수 < 소요일수 : 오늘의 상담 불가

  • 점화식

잔여일수 >= 소요일수 : 오늘의 상담 가능. 할지 말지 결정해야 함.

  • 점화식

timecost는 오늘의 상담을 할 경우 소요되는 일수 (기회비용으로 볼 수 있다.)
profit은 오늘 상담할 경우 발생하는 이익이다.

점화식만 소스코드로 잘 옮기면 되는 문제였다.

근데 잔여일수 계산하는데 은근 헷갈려버렸다,,
마지막 날이면 잔여일수가 1이지?~~~
처음에 마지막 날의 잔여일수를 0이라고 잘못 생각하고 for문의 range를 설정해서 의도한 결과가 안나왔고 5분 정도 헤맸다 ㅋㅋㅋ
마지막날에도 하루 일할 수 있다구,,

잔여일수를 0, 1, 2,...로 기록했다가 급하게 바꾼 메모 사진 ㅋㅋㅋㅋㅋㅋ

오늘은 타입스크립트 스터디하는 날!! 스터디 준비하러갑니다~~ 삐슝빠숑~

profile
기록에 진심인 개발자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