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Value처럼 다룰 수 있는 익명 함수이다.Method의 파라미터로 넘겨줄 수 있으며return이 가능하고보통의 object와 하는 모든 것을 할 수 있다.기본적으로 value처럼 취급을 한다.리턴 타입을 명시해줘야 한다.(때에따라 하지 않을수도 있다.){} 중
val은 상수, var은 변수 (맞자나🙋♂️)근데 다르다고 한다. (약간😅)val은 값 자체를 바꿀 수 없지만 특정 클래스의 객체가 들어가면 해당 값의 속성은 바꿀 수 있다. (뭐라고?🤷)근데 이렇게 내부 속성 마저 변하게 하고 싶지 않다면?그때 나오는게 con
enum?흔히, java에서 사용시, enum값 내부에 멤버 변수를 설정하기도 한다.enum 내부에 값과 함수를 정의했다.코틀린에선 기본적으노 ;를 사용하지 않지만 enum의 마지막에는 꼭 사용해야한다.when은 자바와 다르게 좀 더 확장성 있게 object를 지원한다
Java가 실행되는 환경에서 자바를 대체할 수 있도록 개발된 언어.사용처 백엔드의 코드모바일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코드and so on..(JS도 코틀린으로 컴파일 가능하다는..) 우선, 코틀린은 정적 언어이다.그래서 컴파일 시점에 모든 객체나 메서드의 타입을
Programming에서의 CS지식과 같은 기본 지식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기에 기본 개념 역시 다지자는 의미에서 대충 뭔지는 알지만 확실하게 모를수도 있다 싶은 개념을 정리하고자 한다.static은 변수나 메소드에 키워드로 사용된다.static 키워드를 사용한 변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