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적 배웠던 것을 생각해보면 입력을 집어넣으면 어떤 상자를 통해서 값이 나온다가 함수였다. 또 원래 함수는 하나의 값을 집어넣으면 하나의 값만 나오는게 함수라고 배웠는데 하나의 값을 집어넣었을 때 두 개의 값이 나오는게 가능한가?라는 의문이 생겼는데 이는 벡터로 묶어 하나의 값으로 보면된다는 것이 생소했지만 이해를 못할 정도는 아니였다.
로그의 밑이 1보다 클때 진수가 커질 수록 x축으로 눕게된다!
쉬운 내용이긴 하지만 무시하지 말고 정의와 성질에 대해서 점검하자!
숫자를 세로로 쌓으면 열벡터, 숫자를 가로로 쌓으면 행벡터라고 한다.
행렬끼리 곱할 때는 앞에 있는 행렬의 열의 갯수와 뒤에 있는 행렬의 행의 갯수가 일치해야한다는 부분을 알아두자.(이것이 성립하지 않으면 행렬과 행렬의 곱을 할 수 없으니깐!)
강의 마지막 내용중에서 생소한 내용이 조금있었다. l1-nom, l2-nom이라는 표현식이였는데, 이 nom이라는 놈이 그냥 크기를 의미하는 놈인데 크기를 나태내는 방법중 하나인 것이다. 딥러닝에 많이 쓰이는 표현이라고 해서 까먹지말고 포인트로 알아둬야겠다.
<출처: 패스트캠퍼스 혁펜하임의 AI DEEP DIVE(ONLINE.) Ch01_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