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는 stateless이다! 즉 연결이 끊기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바로 다음 것을 요청해도 서버는 그 이전의 클라이언트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 Stateless가 아니라면 보통 최대 ~개의 클라이언트까지만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Stateless기 때문에 훨씬
브라우저마다 자바스크립트 실행 엔진이 있다. 여기에 or 연산자가 사용되고 있는데 name이 있으면 name이 result에 들어가고 없으면 "codesquad"가 들어간다.const는 한번 할당하고나면 변경이 안된다."==="는 정확히 타입까지 비교한다."=="는 타
1. Javascript - FE 1) 자바스크립트 배열 배열의 선언 배열의 유용한 메서드들 > concat은 원본 값이 변경되지 않는 함수이다
이런 데이터가 있다고 하겠습니다.for문과 forEach를 사용해보겠습니다.forEach에서는 더 이상 i++이나 length를 판단하는 코드가 필요 없습니다.그만큼 실수를 줄일 수 있고, 코드는 더 보기 좋습니다.ES6의 arrow함수를 사용한다면 참고로 더 간단해집
우리는 아래와 같은 코드를 객체리터럴(Object literal)이라고 알고 있습니다.그런데 healthObj의 형태를 가진 여러개의 객체가 필요하다면 어떻게 할까요?healthObj2, healthObj3...그렇게 구현해도 되지만, 비슷한 객체를 계속 중복해서 만들
form 전송 시에 이미지와 같은 파일을 서버로 올리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일반적인 값을 서버로 보내는 것과 다르게 처리해야 할 부분이 존재합니다. form 데이터를 그대로 보낸다면, file도 input 방식으로 업로드가 가능합니다.file type에도 역시 n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