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LOCKCHAIN 란?
-
합의 알고리즘
- 작업 증명 POW(proof of work)
- 비트코인의 합의 알고리즘(최초의 합의 알고리즘) 연산작업을 기반으로 합의
- 새로운 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하려면 난이도에 따른 값을 찾는 반복작업을 해야하낟. 그 작업을 완료했다는 작업의 증명 방식
- 높은 에너지 소비 환경 오염
-지분 증명 POS(proof of stake)
- 담보가 같은 느낌 보상을 받기 위해 암호화토큰을 스테이킹(예치)하고 예치한 량에 비례한 퍼센트로 확률적으로 채굴 권한을 받는다. 확률은 스테이키한 토큰의 양에 비례한다.
- 비잔틴 결함의 이론적인 위협은 있다 팀을 구성해서 네트워크를 방해하는 경우
- 환경 친화적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권위 증명 POA(proof of Authority)
- 권위 증명 방식은 권위 있는 기관에서 조건에 맞는 노드를 증명해서 이들간에 합의를 이루는 방식 두나무 블록체인 서비스(DBS는 권위증명 방식을 사용한다.)
- 네트워크에 참여한 멤버들한테 네트워크 운영에 참여할 권리를 주고 전원이 해당 권한을 위임에 투표를 진행한다.
블록의 구성
블록은 특정 정보를 담아놓은 객체라고 보면 된다.
블록을 생성할 때 Header와 body를 나눠서 생성하는것이 아니고 블록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Header와 Body로 구분해 놓은것.
블록체인의 거래정보 변경이 불가능한 이유
- 블록의 머클루트 계산에 이전 블록의 해시가 포함되어 있기때문에 하나의 블록의 내용이 변경되면 변경된 블록부터 다음 블록들의 해시 변경으로 이어지기 떄문에
- 거래 정보 변경 -> 머클루트가 변경 -> 머클루트 변경으로 블록 해시 변경
- 쉽게 말해서 블록의 거래정보를 변경하기 위해서 거래 정보를 변경한 블록부터 이후의 블록을 순서대로 다시 채굴을 진행해야하기 떄문에 그동안 블록도 생성되고 있고 양자 컴퓨터가 개발이 되지 않는 이상 현시점에서 불가능하다.

💰 BITCOIN 란?
-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개인 대 개인 전자화페 시스템
* 개인간의 거래 :온라인 같은 경우는 개인과 개인간에 구축된 시스템을 거치지 않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비트코인은 어떤 중앙 기관 없이 내가 가진 자산을 다른 사람에게 직접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한다고 보면 된다.
- 개인 대 개인 거래의 문제점 해결
* 이중지불을 막기위해 신뢰할 수 있는 제 3자가 필요했고 이중 지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중앙화된 기관없이 이중지불을 막기위해 블록 타임스탬프(생성시간)를 기록하고 거래내용을 해싱하고 해시 기반 작업증명을 연결한 사슬로 만들어서 작업증명을 재 수행하지 않으면 변경할 수 없는 기록을 만든다. (블록체인이라는 단어가 여기서 나온다. 연결한 사슬이라는 것이 블록들의 타임스탬프를 기록하고 데이터의 위변조 없이 안전한 데이터 해시 기반 작업을 증명한다.)
- 가장 긴 사슬(롱기스트 체인 룰)
* 분산형 네트워크에 여러 버전이 떠 있을 때 어떤 블록체인 버전이 올바른지 결정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에서 사용되는 개념, 블록체인이 길어질수록(블록이 많을수록) 채굴자들이 더 많은 계산 작업과 노력을 투자한다는 개념. 이는 네트워크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고 승인된 블록체인 버전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