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설명: 빈 댓글을 입력하면 경고창이, 댓글 삭제에 성공하면 성공했다는 알림이 뜬다. 알림창을 전역 관리하는 목적 처음에는 알림창을 각각의 컴포넌트에서 호출하고 그에 따른 상태 관리도 따로 했었다. 이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1. 알림창을 사용하는 컴포넌트마다 ` 를 호출하고 useState()` 로 상태관리를 해줘야 하며 알림창을 띄우는 함수를 따로 구현해야 해서 코드가 상당히 복잡해진다. 특정 컴포넌트에서 호출하기 때문에 해당 컴포넌트가 반환되면 알림창도 같이 꺼진다. (가장 큰 문제) 알림창을 사용할 때마다 아래의 세팅을 해줘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useContext를 활용해 알림창을 최상위 컴포넌트 `_ap
React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받아오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 1. useState() - 사용자가 입력할 때마다 값 받아오기 useRef() - 사용자가 입력을 마치고 Submit 버튼 누를 때 값 한번에 받아오기 useState() 를 사용하는 방법은 한글자 한글자 업데이트 될 때마다 유효성을 검사해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ex. 비밀번호 입력 받을 때) 하지만 input의 개수가 많을 때 모두 useState() 를 적용하면 사이트의 속도가 느려질 위험이 있다. 따라서 굳이 유효성 검사를 할 필요가 없는 input의 경우 useRef()</
노마드코더 타입스크립트 강의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강의 링크 변수 any는 모든 타입을 허용한다는 뜻이다. any를 사용하면 굳이 타입스크립트를 쓰는 이유가 없어지므로 웬만하면 사용하지 않는다. ( 자바스크립트는 모든 변수/함수의 타입이 any인 타입스크립트이다. ) 아래와 같이 변수의 타입을 지정해줄 수 있다. Tip >타입스크립트에는 타입 추론 기능이 있으므로 초기값을 지정해줄 경우 굳이 타입을 명시해주지 않아도 된다. 함수 함수는 매개변수와 리턴값의 타입을 명시해준다. type type은 타입스크립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문법으로 타입 정의의 역할을 한다. Union 타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