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N크기의 행렬로 표현되는 종이가 있다. 종이의 각 칸에는 -1, 0, 1 중 하나가 저장되어 있다. 우리는 이 행렬을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자르려고 한다.
만약 종이가 모두 같은 수로 되어 있다면 이 종이를 그대로 사용한다.
(1)이 아닌 경우에는 종이를 같은 크기의 종이 9개로 자르고, 각각의 잘린 종이에 대해서 (1)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종이를 잘랐을 때, -1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 0으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 1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첫째 줄에 N(1 ≤ N ≤ 37, N은 3k 꼴)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N개의 정수로 행렬이 주어진다.
첫째 줄에 -1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를, 둘째 줄에 0으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를, 셋째 줄에 1로만 채워진 종이의 개수를 출력한다.
9
0 0 0 1 1 1 -1 -1 -1
0 0 0 1 1 1 -1 -1 -1
0 0 0 1 1 1 -1 -1 -1
1 1 1 0 0 0 0 0 0
1 1 1 0 0 0 0 0 0
1 1 1 0 0 0 0 0 0
0 1 -1 0 1 -1 0 1 -1
0 -1 1 0 1 -1 0 1 -1
0 1 -1 1 0 -1 0 1 -1
10
12
11
1992 쿼드트리 문제와 풀이 방법이 동일하다. 다만 쿼드트리에서 재귀 호출 시 4등분을 했다면 이 문제에서는 재귀 호출 시 9등분을 한다.
그리고 쿼드트리에서는 0과 1만 있었기 때문에 합이 0 or s*s 였지만, 이 문제에서는 -1,0,1 이 있기 때문에 영역 내 모든 값이 -1 or 0 or 1 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영역 내 원소들의 합이 아니라, 영역 내 특정 원소의 개수를 알아야 한다.
기타
count() 는 문자열과 리스트 둘다 사용이 가능하다.
n = int(input())
arr = []
z,o,mn = 0,0,0
for _ in range(n):
arr.append(list(map(int, input().split())))
def func(m,n,s):
global z,o,mn
total_z,total_o,total_mn = 0,0,0
for i in range(m,m+s):
total_z += arr[i][n:n+s].count(0)
total_o += arr[i][n:n+s].count(1)
total_mn += arr[i][n:n+s].count(-1)
if total_z > 0 and total_o > 0 and total_mn > 0: break
if total_z==s*s:
z+=1
return
elif total_o== s*s:
o+=1
return
elif total_mn==s*s:
mn+=1
return
else:
func(m,n,s//3)
func(m,n+s//3,s//3)
func(m,n+2*(s//3),s//3)
func(m+s//3,n,s//3)
func(m+s//3,n+s//3,s//3)
func(m+s//3,n+2*(s//3),s//3)
func(m+2*(s//3),n,s//3)
func(m+2*(s//3),n+s//3,s//3)
func(m+2*(s//3),n+2*(s//3),s//3)
func(0,0,n)
print(mn)
print(z)
prin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