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4/6
06_변수
07_변수를 사용하는 이유
복습해볼까요.
- 파이참 > project > 마우스 오른쪽 New > Directory 만들기
- Directory 만들고 마우스 오른쪽 New > PyCharm file 만들기
- 복붙할 때: 커서 올려 둔 채 Ctrl D 누르면 됨
- 실행: Ctrl, Shift, F10
변수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공간
파이참에서 등호 = 란?
양쪽이 같다는 뜻이 아니라 오른쪽 숫자를 왼쪽에 할당한다는 뜻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
변수에 데이터를 한 번 저장해 놓고 반복해서 쓸 때 / 한꺼번에 수정할 때 용이하다. (엑셀에서 '한꺼번에 바꾸기' 기능과 유사)
변수와 다른 값 연결할 때:
홍길동 고객님께 (홍길동 / 고객님께 라는 두 값을 연결할 때는 콤마 , 를 쓴다)
print(name, '고객님께')
08_변수명은 이렇게 하세요
- 의미를 알 수 있게 변수명을 짓는 게 좋다
예) a = 홍길동, B = 20 보다는 myName = '홍길동', myAge = 20 이게 낫다
- 국문 아니고 영문으로 쓴다
- 첫 번째는 소문자로
- 띄어쓰기 안 되기 때문에 대신 카멜 표기법으로 (소문자, 대문자로 단어 구분)
- 파이참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예약어 금지
- 특수문자 사용 금지 ($ 이런 거 금지)
- 공백문자 사용 금지
- 숫자는 사용 가능, 하지만 제일 첫번째 사용 금지

<이미지 출처: 제로 베이스 스쿨 데이터 취업스쿨 강의자료>
아래부터 hell gate 오픈됐다.
09_자료형
- 정수: int
- 실수: float
- 문자: str
- 논리형 (True/False, 참/거짓): bool
- 각 데이터의 원천을 살펴보는 방법 (정수인지, 문자인지 등)은 type 함수 쓰기
예) print(type(flag))


<이미지 출처: 내 작업 화면>
10_자료형 변환(문자)
- 숫자를 문자로 바꿀 때는 str 함수
- 주석을 쓸 때 (코드를 잠시 막을 때, # 사용, 엑셀에서 숫자 앞에 ' 작은 따옴표 쓰는 것과 동일)
- 주석 # 쓸 때 단축키: Ctrl /
- 여러 줄 주석 # 쓸 때 ''' 작은 따옴표 3개 줄 앞 뒤에 삽입
11_자료형 변환(숫자)
- 문자 ('100') 또는 논리 (True) 를 숫자로 바꿀 때는 int(정수), float(실수, 소수점) 함수
- True=1 그리고 False=0


12_자료형 변환(그외 데이터)
- '': 빈 문자, 값 0
- ' ' (따옴표 사이 띄어쓰기): 비어 보이지만 값 1 (엑셀에서도 아무것도 안 쓰고 띄어쓰기만 해도 값 1로 카운트 되는 것과 마찬가지)

한줄평:
변수에 대해 배웠는데 과연 이름값을 했다.
졸업의 변수가 여기 있었ㄷㅏㅠㅜ.
첫 번째 문턱이 너무 빨리 와 버렸어.
그래도 대략 엑셀과 비교해본다면
엑셀에서도 숫자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문자'로 표기되어 덧셈, 뺄셈 등 연산이 안 되는 경우가 있는 것처럼 파이참도 비슷해 보인다.
파이참이 엑셀 보다 좋은 것은 문자를 숫자로 변환할 수 있다는 것!
그래서 계산도 가능하고, 단순히 2개의 값을 나열해서 표현할 수도 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