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메시지, TCP 프로토콜의 제어 정보(수신 확인, 시퀀스 번호 등),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는 패킷 운반 동작(중계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100메가비트/초 이상의 이더넷을 PHY(Physical Layer Device)라고 부른다. 이전의 저속 방식 중에는 MAU(Medium Attachment Unit)라고 부르는 것도 있다.
0-1. 데이터에 헤더가 모두 추가된 후 완성된 패킷은 IP 담당 부분에서 LAN 어댑터로 송신된다.
0-2. LAN 드라이버는 받은 패킷을 LAN 어댑터의 버퍼 메모리에 복사한다.
0-3. MAC 회로는 패킷 앞에 프리앰블과 스타트 프레임 딜리머터를 붙이고, 뒤에 프레임 체크 시퀀스를 붙인다.
0-4. MAC 회로가 디지털 데이터를 전기 신호(공통 형식의 신호)로 변환 후 PHY(MAU) 회로에 보낸다.
케이블이 길수록 신호가 약해지고, 중간에 변형도 되어 처음과 달라진 형태의 신호가 허브에 도착한다.
이더넷은 사각형 형태의 신호를 사용하는데, 각진 부분은 전압이 급격히 변화하므로 주파수가 높다. 주파수가 높으면 전파의 방출량이 높기 때문에 에너지가 그만큼 손실되어서 신호가 약해진다.
중간에 잡음까지 생기면 신호가 더 변형된다. 이로 인해 0과 1이 잘못 판단된다.
모터, 형광등과 같은 기기에서 전자파가 나오는데, 이 전자파가 케이블 주위에 있으면 케이블 안에 전자파에 의해 만들어진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잡음과 신호가 섞여 신호의 파형이 변한다.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꼰 선쌍)은. 두 가닥의 신호선을 ‘꼼’으로써 잡음을 막을 수 있다.
전자파가 신호선에 닿으면 전자파 진행 방향의 오른쪽으로 전류(잡음)가 생긴다. 이때 신호선이 꼬여있어 나선형 모양이면, 옆에 나선형에서는 반대쪽으로 흐르는 전류(잡음)가 생겨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잡음의 전류가 약해진다.
또 하나의 잡음은 다른 신호선에서 오는 잡음으로, 이를 크로스토크(crosstalk)라고 한다.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은 플러스 신호선과 마이너스 신호선을 한 쌍으로 꼬는데, 이때 꼬는 간격을 조금씩 다르게 한다. 그러면 어떤 잡음은 플러스 신호선에서 생겨나고, 또 다른 잡음은 마이너스 신호선에서 생겨나게 된다. 플러스와 마이너스에서는 잡음의 영향이 반대가 되기 때문에 잡음의 영향이 줄어든다.
리피터 허브에서 신호를 받으려면 PHY(MAU) 회로의 수신 단자로 받아야 하기 때문에 PHY(MAU) 회로와 RJ-45 커넥터 사이의 신호선은 교차로 되어있다. 교차로 결선된 것은 MDI-X(Media Dependent Interface-Crossover)라고 하고, 직접 결선된 것은 MDI라고 한다.
허브의 커넥터는 보통 MDI-X로 되어 있으므로 허브끼리 접속할 때 다른 쪽 허브는 MDI로 설정해야 한다.
MDI로 전환하는 스위치나 포트가 없는 경우 또는 PC끼리 접속하는 경우는 크로스 케이블을 사용한다. 크로스 케이블은 송신이 수신 쪽으로 들어가도록 신호선을 접속한 케이블이다.
RJ-45 커넥터에서 PHY(MAU) 회로까지 신호가 전달되는 부분은 리피터 허브와 같다.
커넥터와 안쪽에 있는 회로를 포트라고 부른다. 스위칭 허브의 포트는 수신처 MAC 주소와 자신의 MAC 주소를 비교하지 않고 모든 패킷을 버퍼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렇기 때문에 스위칭 허브의 포트에서 MAC 회로는 MAC 주소가 필요 없다. (할당되어 있지 않음)
스위칭 허브는 패킷을 수신했을 때 송신처의 MAC 주소와 수신처의 입력 포트 번호를 MAC 주소표에 등록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삭제한다.
스위칭 허브에 리피터 허브가 접속해 있을 때
(만약 이때 스위칭 허브가 패킷의 수신처를 보고 리피터 허브를 통해 PC B에게 보내려하면, PC B는 같은 패킷이 두 번 도착하게 된다.)
리피터 허브의 경우 동시에 송신 동작을 하면 충돌이 일어나지만(반이중 모드), 스위칭 허브는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전이중 모드)
자동 조정 기능은 접속한 상대가 할 수 있는 동작 모드와 전송 속도를 검출하여 그에 맞게 자동으로 전환하는 기능이다.
이더넷은 데이터가 흐르지 않을 때 링크 펄스라는 펄스형 신호를 흘림으로써 케이블에 이상이 없는지 알 수 있게 해준다.
자동 조정 기능은 펄스형 신호를 이용한다. 펄스형 신호의 패턴을 읽고 자신과 상대가 지원하는 것 중에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모드로 동작한다.
스위칭 허브는 수신처 MAC 주소의 기기가 존재하는 포트를 제외하면 다른 포트들은 비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패킷을 중계할 수 있다.
출처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원리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wshop89&logNo=220019277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