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원리” 책을 읽고 서로 피드백을 해주는 스터디에 들어갔다. 네트워크에 대해 공부해보 싶어서 책이나 강의를 들으며 공부해 봐야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그런데 막상 혼자 공부해보려 하니 어디서부터 어떤 방식으로 공부해야 할지 감이 오
DNS 서버는 조회 메시지를 받고 등록된 정보를 찾아 클라이언트에 회답한다.조회 메시지주소를 알고 싶은 이름과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클래스, 지원되는 타입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등록된 정보 찾고 회답설정 파일에서 이름, 클래스, 타입이 모두 일치하는 리소스 레코드를
업로드중..패킷 : 분할된 데이터의 덩어리를 패킷이라고 한다.ICMP : 패킷을 운반할 때 발생하는 오류를 통지하거나 제어용 메시지를 통지한다.Socket : Socket 라이브러리socket : Socket 라이브러리 안의 socket 프로그램소켓 : 파이프 양끝의
생성된 패킷은 가까운 중계 장치로 가게 된다. 중계 장치는 수신처의 위치를 알 수 있는 표가 있기 때문에 이 표와 패킷의 헤더 안에 있는 수신처를 비교한다. 이를 통해 패킷은 다음 중계 장치로 가게 된다.자세한 순서는 다음과 같다.수신처가 있는 방향의 라우터에 할당된
HTTP 메시지, TCP 프로토콜의 제어 정보(수신 확인, 시퀀스 번호 등),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는 패킷 운반 동작(중계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100메가비트/초 이상의 이더넷을 PHY(Physical Layer Device)라고 부른다. 이전의 저속 방식 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