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h.pow(x,y) = x의 y제곱
Math.floor() = 입력받은 숫자를 내림한 정수를 리턴하는 함수
Math.abs() = 입력받은 숫자의 절대값
X*Y = X의 Y제곱
XX=X 제곱
X+=Y - X=X+Y
Boolean-거짓같은 값을 false로 평가하는 것
다음은 8가지의 거짓 같은 값.
false
0
-0
0n
""
null
undefined
NaN
Boolean( ) 값으로 확인 가능
str.length
변수.length - 변수의 문자 개수
str.indexof() : 찾고자 하는 문자열의 위치를 알려준다.
str.lastindexof() : 뒤에서부터 먼저 찾지만(같은 문자가 겹칠 경우 특히 유효) 값은 앞에서부터 세어서 나온다.
str.includes() : str안에 ()값을 찾아서 있으면 True, 없다면 False로 리턴함.
str.split() : 문자를 분리한다. /n을 이용하여 줄바꿈도 분리 가능.
str.substring(A,B) : A~B까지의 문자열을 나타낸다.
*str.slice도 비슷한 기능이다. 만약 시작점(A)를 안정해주면 알아서 처음부터 B까지 잘라서 나타냄.
하지만 마지막 위치값(B)은 포함하지 않음.
ex) str.slice(0,3) - 첫 문자열부터 세번째 문자열까지.! 0,1,2.. 3은 제외된다
str.toLowerCase() - str을 전부 소문자로 리턴함.
str.toUpperCase() - str을 전부 대문자로 리턴함.
*() 가운데는 비워놓기
[]은 bracket notation. 그냥 그렇다고 알아만 두기.
함수를 선언할 때 (A) -> 매개변수
함수를 호출할 때 (A) -> 전달인자
string( ) - ()를 문자로
Number( ) - ()를 숫자로
숫자+""; - 숫자를 문자로
'string ${expression}
' ~에 있는 '
변수를 문자열에 넣을 때 주로 사용한다.
내일 엘리 3강부터 듣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