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순서대로 진행됨
수정기능 구현하는 경로와 구성
@RequestParam은 변수 이름에 맞는 값을 자동적으로 형변환까지 매칭시켜 넣어준다
dev라는 Bean에 자동으로 이름 똑같은 거 매칭하여 넣어지게 됨.
단, getter, setter 메소드가 있어야 자동으로 매칭되고 필드만 있다 해서 매칭이 될 수 있는 것이 아님!
demo.는 xml의 namespace를 의미
insertDev는 id를 의미
dev라는 테이블의 객체 아이디들이 같은 것에 insert메소드가 실행될 수 있게 함
저쪽으로 이동
key값이 items를 의미함
변수 var를 "dev"로 해놨기 때문에 $(dev. ~}으로 씀
datasource는 id의 dataSource를 의미, 반드시 close해야함
보안을 위해 별도로 구성해놓은 것이고, 체크 표시한 값이 저기로 들어감
id가 ref로 넘어감
각각을 의미
데이터베이스의 컬럼명이 baen의 변수명을 의미하는지 구별할 수 있도록 넣은 구문
script 함수 쓰는 방식은 두 가지 중에 아무거나 하면 됨
회원가입/로그인 할 수 있는 기능 구현하기 위해 member관련 package만들기
인터페이스만 만들어 놓으면 저 Dao관련 파일들(DB와 연동하는 파일들)을 생략시킬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