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개변수 있는 수대로 alist에도 넣어주기
요구사항 확인(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신속, 정확하게 구현)이 가장 중요
모델링을 위해 필요한 것이 UML
구조 다이어그램: 실제로 기능을 어떻게 할 건지
행위 다이어그램: 관리자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나타나는 것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행위 다이어그램에 가장 대표적인 것
시퀀스 다이어그램: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클래스 다이어그램: 객체로 만든 것
사람(여기선 알바, 손님, 주방장)을 actor라고 부름
데이터베이스에서 컬럼 넣고 여러개의 테이블에 외래키를 넣어주면 자동으로 만들어짐
이것 외에도 모델들은 많음
관계의 종류들을 잘 알아둬야 함
-시나리오 흐름상의 구조보다 의미에 따른 모델링 구조가 더 좋음
-고객이 제품을 주문해야지만 제품조회가 가능하고 주문결제가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이 좋음
-제품조회는 로그인을 안 해도 할 수 있음
-로그인을 해야 제품주문이 가능하지만 별도로 빼서 구조화를 간단히 해주는 것이 좋음
회원과 관리자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은 따로 빼서 구조화하는 것이 좋음
심한 구체화는 오히려 독
-요구사항은 보통 기술서를 만들게 됨
-기술서를 읽어 내가 필요한 actor와 유스케이스에 어떤 것들이 들어가야할지 분석해야함
최종적으로 이런 구조를 갖추면 설계 완성
비교할 홈페이지와 내가 만든 홈페이지와의 차별점을 두고 내 것이 더 장점이 있다는 것을 어필하는 것이 좋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