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루트 노드, 내부 노드, 리프 노드로 구성
② 부모, 자식의 계층 구조를 가진다.
① 깊이
① 정이진 트리(full binary tree) : 자식 노드가 0 또는 2개인 이진 트리
② 완전 이진 트리(complete binary tree) : 왼쪽에서부터 채워진 이진 트리. 마지막 레벨을 제외하고는 모든 레벨은 완전히 채워져 있으며(2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는 상태), 마지막 레벨의 경우 왼쪽부터 채워져 있다.
③ 변질 이진 트리(degenerate binary tree) : 자식 노드가 하나밖에 없는 이진 트리
④ 포화 이진 트리(perfect binary tree) : 모든 노드가 꽉 차있는 이진 트리
⑤ 균형 이진 트리(balanced binary tree) : 왼쪽과 오른쪽 노드의 높이 차이가 1 이하인 이진 트리를 의미
위와 같이 "검색에 용이"하다는 특성을 가진다.
Best → O(
Worst → O(
최악의 경우 BST는 트리 데이터의 삽입 순서에 따라 "선형적"으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BST가 선형적인 경우 Worst case를 방지하고자 스스로 균형을 잡는 BST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