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팀끼리 주간 회고를 진행했으면 해서 정리했던 노션글.
제안 이유, 예시, 회고 방법론 등에 대해 조사하고 정리했는데
말씀 드리기 전 팀장님이 먼저 진행하겠다고 말씀해주셨다!
하지만 일단 글 정리한게 아까워서 올려봄..
러프하게 준비한터라 이곳 저곳에서 긁어온 글들로 인해 출처가 뒤죽박죽😅
next.js로 당근마켓 클론 코딩, 3:3으로 간단 팀프로젝트 하기, 알고리즘 스터디 등… 하나의 주제로 다같이 스터디를 진행하는 것도 좋지만 아래와 같은 것들이 우려됨
→ 이에 당장 무엇을 공부 할 지를 정하는 것 보단 지속 가능한 스터디 방법을 생각해 보게 되었음. 그 결과 주간회고 를 제안함
1주일 동안 성장을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혹은 반성이 있는지를 얘기하는 것이 목표
이 주간 회고를 큰 줄기로 진행하며 이 과정 속에서 팀원과 함께 하고 싶은 스터디가 있으면 팀원의 동의를 얻어 진행해도 좋을 듯, 전체든 소수든..
https://techbizinsight.tistory.com/35](https://techbizinsight.tistory.com/35
https://techblog.woowahan.com/2713/
일단, 회고에 익숙해 질 때 까지 방법론을 적용해 따라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음.
https://techblog.woowahan.com/2713/
여러 번 동일한 상황이 반복되는데 왜 나는 똑같이 힘들까? 아마도 그 이유는 쉽게 하는 방법을 고민해 본 적이 없기 때문일 것입니다.
Lesson learnt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힘들게 수행한 모든 활동(task, bug fixing, project...) 에서 '배울 수 있었던 것(possibly learned from)'들을 진지하게 확인함으로써 진짜 배우고 내 것(100% mine)으로 하기 위해서입니다.서로 행복하게 일하기 위해서
두 번 같은 실수는 서로를 힘들게 합니다. 잠깐 아프더라도 잘못을 알려주고, 다음에 그 실수가 일어나지 않으면 그다음부터는 아프지 않아요. 한 번만 아프면 돼요.아플까 봐... 그냥 넘어가면, 계속 아픈 거예요.
모든 것에 앞서 회고는 올바른 마음가짐이 젤 중요합니다.
사랑 : Blame이 아니라 Grow together 하는 자리입니다. 친구, 조카, 연인과 대화한다고 생각하세요.
다양함 : 본인의 생각은 항상 부족합니다. 나의 생각과 너의 생각이 모인 우리의 생각이 항상 훌륭합니다. 나는 맞고, 너는 틀리다는 생각은 집에 두고 오세요.
구체적임 :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표현을 써주세요. 어렵게 설명하거나, 둥글둥글 설명하는 건 시간낭비예요.
이런 마음가짐으로 긍정적인 사건과, 부정적인 사건을 이야기 나누어 보세요
주간회고를 하면서 사용하기 좋은 보드판
https://www.marimba.team/board/78dd35d2-2e4d-4a17-a47d-4e13983076df
https://www.inflearn.com/pages/weekly-inflearn-41-20220215
https://www.inflearn.com/pages/weekly-inflearn-41-20220215
KPT는 각각 Keep, Problem, Try의 약자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3가지 관점에서 업무를 돌아보고, 다음 액션 아이템을 도출해내는 데 도움이 되는 회고 템플릿이에요.
KPT
KPT는 각각 Keep, Problem, Try의 약자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3가지 관점에서 업무를 돌아보고, 다음 액션 아이템을 도출해내는 데 도움이 되는 회고 템플릿이에요.
조직 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한 스프린트성 회고
5F
5F는 다음 다섯 개의 키워드에 따라 순서대로 회고를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3Fs
Fact, Feeling, Finding, 2Fs : Future, Feedback, 예를 들어 볼까요?
특히 5F는 개인이 한 활동을 회고하는 데 유용한데요, 어떤 일이 있었고 무엇을 느꼈는지를 시간 순서대로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식이에요.
4L
4L은 특정 활동에 대해 느낀 생각과 경험을 중심으로 회고를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PMI
아이디어 도출 및 평가를 위해 고안된 PMI 역시 회고 방식으로도 종종 활용되고 있어요.
KPT 진행 노하우
https://www.moreagile.net/2016/04/kpt.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