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언어로 팩토리얼 함수를 만들고 함수 포인터를 활용하여 값 출력하기
C 순차검색 알고리즘
이분 검색은 구간의 중간값과 키값의 대소를 구분하여 테이블을 절반씩 나눠가며 비교하는 방식이다.한 번 비교할 때마다 테이블의 길이가 절반씩 줄어들기 때문에 검색 효율은 상당히 좋은 편이며 테이블이 커도 속도가 느려지지 않는다.일반적으로 우리가 영한 사전을 검색할 때 이
해시는 자료를 입력할 때부터 검색하기 쉬운 위치에 삽입하는 방법이다.해시는 검색방법이라기보다는 자료관리 기법이다.쉬운 예로 실생활의 주소록을 생각하면 된다.
선형 탐색, 동적 슬롯
두 개의 루프로 구성되어있는데 i 루프는 문자열 선두에서부터 뒤로 이동하고 j 루프는 매 i에 대해 num-i까지 비교 및 교환을 반복한다.
선택 정렬은 최소값을 찾아 앞쪽으로 이동하기를 배열 크기만큼 반복하는 정렬 방법.배열에서 가장 작은 값을 찾아 처음으로 일단 보낸다.첫 번째 요소는 제외하고 남은 요소들 중에 제일 작은 값을 찾아 선두로 보내기를 배열 끝까지 반복한다.
성적 처리 프로그램을 작성하고자 한다. 학생은 5명이고 과목은 국어, 영어, 수학인 3과목을 대상으로 한다.학생 별 총점이 필요하고 각 과목당 총점과 평균을 계산할 필요가 있다. 성적의 값은 정수 값으로 입력되어지고 평균은 실수(double)값으로 처리한다.이 프로그램
소수(prime number)란 1과 자신의 수 외에는 나눌 수 없는 숫자를 말한다.그래서 소수는 1과 N만을 약수로 갖는다. 2부터 N-1까지의 수로는 나누어져서는 안된다.N이하의 소수를 구하는 코드를 작성한다면, 일반적으로 2이상 N미만의 약수가 없는지 판단하고,
Node 구조체는 연결 리스트의 한 요소인 노드를 정의한다.연결 리스트는 정수를 데이터로 가지므로 정수형 변수 value와 링크 next만 멤버로 갖는다.Node형 포인터 head는 연결리스트의 진입점이다.head의 링크(head->next)가 NULL이라는 것은 머리
숫자 n이 주어졌을 때, n의 피보나치(Fibonacci) 수열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피보나치(Fibonacci) 수는 수학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8의 피보나치 수열은 다음과 같다.0, 1, 1, 2, 3, 5, 8, 13, 21n의 피보나치(Fibon
스택은 LIFO(Last In First Out)의 원리로 동작하는 선형적인 자료 구조이다.스택은 데이터가 들어가고 나오는 입구가 하나이다.임시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함수의 지역변수 및 전달인자들이 스택 메모리 관리의 대표적인 예이다.푸시되는 순서대로 스
큐는 스택과 반대로 FIFO(First In First Out)의 원리로 동작하는 자료구조이다.순서대로 처리해야 하는 자료를 임시로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줄 서있는 차들의 행렬.큐는 자료가 삽입되는 곳과 삭제되는 곳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두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