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프리터(Interpreter) : 코드를 한 덩어리씩 실행해 결과를 출력하는 방식컴파일(compile) :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친 후 한 번에 실행하는 방식REPL 특성을 가진 브라우저 콘솔브라우저의 콘솔은 코드를 한 줄씩 입력
변수 값을 저장하고 저장한 값을 불러올 수 있게 하는 것이 변수(variable)다. 변수를 만드는 행위를 선언(declaration)한다고 표현한다. 변수를 만드는 방법은 let, const, var 3가지가 있다. let 으로 시작하는 명령을 선언문이라고 한다.
객체는 자료형의 일종으로, 다양한 값을 모아 둔 또 다른 값을 의미한다.배열 (array)함수 (function)배열이나 함수가 아닌 객체배열 내부에 배열이 들어있는 형태를 이차원 배열이라고 한다.배열 내부의 값을 요소(element)라고 한다.배열 이름 뒤에 .len
프로그램 절차의 개수는 정해져 있어야 한다.각 절차는 항상 같은 내용이어야 한다.모든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예시는 절차를 검증하는 데 사용한다.사진 출처: Let's Get IT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래밍 (2) 끝말잇기 게임🔘 시작과 끝은 두 겹의 원 기호로 표시⚪️
1을 입력하면 numOne 변수에 저장한다\+을 누르면 operator 변수에 저장한다2를 누르면 operator 변수에 값이 있는지 확인한 뒤, numTwo 변수에 저장한다.=버튼을 누르면 numTwo 변수에 값이 있는지 확인한 뒤, 계산 로직을 실행한다.연산자(=)
컴퓨터가 무작위로 숫자 네 개를 뽑는다.사용자는 답을 입력창에 입력한다.입력된 답의 형식이 올바른지 검사하고홈런인지 검사한다.10번 초과 실시했는지 검사하고10번을 초과했다면 패배Math.random() : 0 <= x < 1 사이 무작위 숫자를 만드는 함수
1~45까지의 숫자를 준비한다숫자를 섞는다공 7개를 뽑는다마지막 공은 보너스 공이 된다1초마다 공을 하나씩 화면에 표시한다전체 공의 개수를 45개로 설정반복문을 사용하지 않고 배열의 메서드만을 사용해 뽑는다.피셔-예이츠 셔플 알고리즘(Fisher-Yates Shuffl
컴퓨터와 가위바위보를 해서 몇 번 이겼는지 점수를 기록한다.객체의 사용법을 익히고 타이머를 멈췄다가 재개하는 방법을 배운다.0.05초마다 가위바위보 값이 바뀌도록 구현한다.가위 바위 보 버튼을 누른다.돌아가는 그림을 멈춘다.결과에 대한 점수를 계산한다.점수를 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