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센터의 SSD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음
SSD
- 서버의 메모리 역할
서버
-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 등 저장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역할
이 데이터가 휴대폰이나 노트북에 어떻게 전송이 될까?
1. 위성
2. 광섬유 네트워크
💡 ip 주소
- 서버, 컴퓨터, 휴대전화 등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치는 IP주소를 가지고 있음
-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가 장치의 IP 주소를 결정
- 서버는 웹사이트에 저장하므로 서버의 IP 주소를 알기만 해도 모든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음
- ip주소를 기억하기 쉽게 하기 위해 도메인 네임을 사용
1. 도메인 네임 입력
2. 브라우저가 해당 IP주소를 얻기 위해 DNS서버에 요청을 보냄
3. IP주소를 받은 후, 브라우저는 서버에 요청 전달
4. 서버가 특정 웹사이트에 대한 접속 요청을 받음(데이터의 흐름이 시작됨)
5. 데이터는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디지털 형식(광 펄스의 형태)으로 해저 면을 가로질러 라우터까지 전송
6. 라우터는 빛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경
7. 이더넷 케이블을 사용하여 노트북에 전기신호를 전달
0과 1을 패킷이라 하는 작은 덩어리로 잘라내어 전송 → 휴대폰을 향해 라우팅됨(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해당 시점에서 사용가능한 최상의 경로를 사용) → 휴대폰에 도달하게 되면 패킷들이 시퀀스 번호에 따라 조립됨
복잡한 흐름을 관리하기 위해 프로토콜 사용
프로토콜 - 데이터 패킷 변환, 각 패킷에 대한 발신처 및 수신처 주소 첨부, 라우터의 규칙 등에 대한 규칙들을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