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07 4일차 수업
User Task Flow + IA 이론 + 정량조사

IA(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 구조도

Feature List → User Task Flow → IA

Feature List

  • 생각나는 기능들 모두 정리
  • 유사 기능 정리
  • 필수 기능인지 아닌지 구분하여 좁혀감
    * 해당 기능이 없을 때 서비스가 돌아갈 수 있는지의 여부로 파악]
  • 남겨진 기능에서 다시 우선 순위를 정한다.

task flow
특정 작업을 완료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user flow에 비해 선형적

user flow
사용자가 특정작업을 완료하기 위한 서비스 내에서 움직임 경로

IA의 기본적인 시스템 종류

  • 전체적인 구조 시스템
  • 라벨링 시스템
  • 네비게이션 시스템(GNB, LNB)
  • 검색 시스템

전체적인 구조 시스템

  • Hierarchy 계층구조
  • Tabs
    모바일에서 많이 사용
    좁은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멀티태스킹이 가능
  • Hub & Spoke
    e.g) FeDex, iPhone(home=hub(main))
  • Linear
    무조건 순차적인 관계를 거쳐야지만 최종적인 단계에 도달할 수 있다.
    간단한 경우엔 괜찮지만 복잡한 경우엔 선호하지 않음
  • Nested Doll 중첩인형
    계층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유연하게 사용가능
    다른 구조들에서 하위로 중첩인형 구조를 한번 더 사용하는 식으로 많이 쓰인다.
  • Bento Box
  • Filtered View
    검색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
  • Web
  • Database

** 이미지 출처: https://www.farmpd.com/farm-blog/9-information-architecture-patterns-for-healthcare-design


정량 조사

정량 조사에는 설문 조사만 있는 것이 아니라 포토 다이어리 같은 것도 있다.

아예 새로운 신규 사업에 대한 리서치 진행 시 보통 정성 조사 → 정량 조사 순으로 진행한다.
신규 사업에 대해서는 조사 대사에 대한 타겟팅이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정성 조사를 먼저 진행하는 편.

조사 대사 결정

1. 회사의 성장기에 따른 조사 대상

도입기의 서비스

기존이 고객이 없거나 적은 편이기 때문에 잠재고객을 타겟하기 어려움
조사 대상의 스펙트럼을 넓게 잡아야한다.

성장기의 서비스

어느 정도의 고객이 확보된 상황이지만 정체기가 아니기 때문에 신규 고객에 대한 잠재적 발굴을 통해 더 성장을 도모해야함
조사 대상: 기존 고객 + 잠재력 있는 신규 고객
기존과 잠재고객 모두 같은 질문지로 진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신규 고객 확보를 도모함

성숙기의 서비스

사용자가 급증하기보단 정체/유지가 되고 있을 확률이 크다.
이럴 때는 새로운 고객을 발굴하기보다는 기존 고객의 이탈을 막는 것이 우선이다.
조사 대상: 기존 고객 중심

2. 조사 대상의 규모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최소 400~500명에 대해서는 조사가 필요하다.
정넓고 깊게 분석해야하는 회사(쿠팡, 카카오톡 등)의 경우에는 1,500명 정도의 조사가 필요하다

설문 문항 작성 가이드

1. 질문은 완결된 문장으로 작성

❌ Q. 주방 세제의 구매 주기는?
-> 이 질문은 완결된 문장인가? 아니다. 이걸 완결된 문장의 형태로 바꿔보면 아래와 같다.
✅ Q. 귀하는 주방 세제를 얼마나 자주 구매하십니까?

❌ Q. 당신의 성별은?
✅ Q.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2. 응답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

단일 선택의 경우
Q. 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다중 선택의 경우
❌ Q. A사의 주방 세제를 사용하는 이유를 모두 선택해주세요.
✅ Q. A사의 주방 세제를 사용하는 이유를 순위대로 선택해주세요.
-> 모두 선택해달라는 응답을 받는 것도 좋지만 순위로 응답을 받으면 더 세분화된 분석이 가능하다.

3. 명확한 구조와 기준을 제시

쌍렬식의 질문 지양
❌ Q. 귀하께서는 롯데백화점이 신세계백화점보다 상품의 종류와 가격적인 면에서 더 났다고 생각하십니까?
-> 상품의 구성과 가격을 동시에 질문함
✅ Q. 귀하께서는 롯데백화점이 신세계백화점보다 상품의 구성이 더 났다고 생각하십니까?
✅ Q. 귀하께서는 롯데백화점이 신세계백화점보다 가격적인 면에서 더 났다고 생각하십니까?

4. '기타'와 '없음' 보기는 필요한 문항에 적절히 사용

Q. 일주일에 라면을 얼마나 먹나요?
❌ A. 1)주 1~2회 2)주3~4회 3)주 5회 4)주 6회 5)주 7회(매일) 6)먹지 않음
✅ A. 1)주 1~2회 2)주3~4회 3)주 5회 4)주 6회 5)주 7회(매일) 6)먹지 않음 7)기타
-> 위와 같은 질문에서 기타가 없으면 한달에 1~2번 먹는 사람들의 응답의 타당성이 떨어짐

5. 편향된 응답이 나오지 않도록 유도 질문하지 않는다.

❌ Q. 최근 동물을 학대하는 끔찍하고 안타까운 사건들이 일어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느냐?
-> '끔찍하다'는 부정적은 워딩을 봤기 때문에 응답도 부정적으로 나올 수 밖에 없다
✅ Q. 요즘 발생하고 있는 동물 학대 사건들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자유 응답형(주관식)/ 선택형 질문(다지선다, 양자택일)

자유 응답형(주관식)

  • 👍 장점
    • 응답의 다양성
  • 👎 단점
    • 응답을 수치화 하기 전에는 응답을 분석할 수 없음

다지선다

  • 👍 장점
    • 통계 분석이 쉽다
    • 설문 응답자가 응답하기 쉽다
  • 👎 단점
    • 제시된 응답의 변주에서 누락된 것이 있을 경우 응답의 정확도/성실도가 떨어짐
    • 보기에 중복이 있으면 안됨

양자택일

  • 👍 장점
    • 응답과 분석이 쉬워진다.
  • 👎 단점
    • 중간 정도의 응답을 원하는 응답자가 있는 경우 적절하지 않은 측정치가 있을 수 있다. (양자 택일이 가능한 문항인가에 대한 확신이 필요)

6개월 이내에 해외여행 계획 있습니까?
예) 아니오) 만 있는 경우 갈수도있는경우...가 누락-> 등간 척도로 수정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