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내용은 제가 node.js를 이용한 프로젝트를 가지고 면접 준비를 할 때 정리했던 내용들 입니다.mongoose function 사용하는 두가지 방법1) callback function 활용2) promise 활용: 무언가가 발생하고 난 다음 호출되는 functi
해당 내용은 제가 리액트를 이용한 프론트엔드 프로젝트를 가지고 면접 준비를 할 때 정리했던 내용들 입니다.: 서버가 사용자들에게 무언가를 fetch 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음: useState, useEffect를 이용해 fetch했던 것을 ReactQuery를 이용해
해당 내용은 제가 파이썬-장고를 이용한 프로젝트를 가지고 면접 준비를 할 때 정리했던 내용들 입니다. 오픈소스, flask보다 사용자가 더 많아서 자료 찾기가 편리함프레임워크가 복잡하지만 틀에 맞추면 쉽게 큰 프로젝트도 가능(자유도가 적음)빠른 개발, 빠른 배포, 빠른
세션 vs 토큰 vs 쿠키? 기초개념 잡아드림. 10분 순삭!위의 동영상을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쿠키를 이용해 서버는 내 브라우저에 데이터를 넣을 수 있음(나에 대한 것 기억)도메인에 따라 제한. 유효기간 있음.stateless : 서버로 가는 모든 요청이 이전 re
정적 함수는 클래스 내에서 @staticmethod 데코레이터를 사용하여 정의됩니다.정적 함수는 인스턴스 상태에 의존하지 않으며 인스턴스 속성이나 메서드에 액세스할 수 없습니다.정적 함수는 클래스에 바인딩되어 있어 클래스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nested_serializer에 대해 썼던 이전 게시글 참조nested_serializer를 쓰게 되면 성능저하 문제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해당 사항에 대해 알아보자.DRF를 사용하면 Rest API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것을 제공
깃허브 레파지토리 이름 변경 후 새로운 리모트 저장소 주소로 재설정 하기git remote -vgit remote set-url origin URLgit remote -v
데이터베이스 정규화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모델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의 일관성,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데이터를 분해하는 과정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크고 제대로 조직되지 않은 테이블들을 잘 조직된 여러 개의 테이블을 나누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이
위의 함수에서 a와 b는 매개변수. 함수 영역 안에서 쓰는 변수이다.위의 함수에서 3과 2는 인자. 일반적으로 값(value)이라고 봄.위의 procedure에서 name 은 매개변수, Martin은 인자(값)
예를 들어 i, j, k와 같은 소위 인덱스(index) 변수를 증가시키면서 for 루프 를 돌리는 경우, 파이썬은 enumerate()라는 내장 함수를 통해 이러한 인덱스 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루프를 돌리는 방식이 선호되며 이런 코딩 스타일을 소위 Pythonic,
APIView < mixins < generics APIView < ViewSetAPIView : 자주 쓰이는 view 들의 패턴을 패턴화 시켜 최소한의 코드로 Model 에 대한 view 를 구현하는 방법.mixins : APIView 의 일반적인 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