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드 입문_12

·2022년 12월 14일
0
  • git init
    Git 저장소를 초기화 하여 해당 프로젝트 폴더를 Git repository 로 만들어줍니다.
  • git add
    지금 변경한 변경 사항을 스테이징 영역(Staging Area)에 올립니다.
    - git add .: 모든 변경 사항을 올린다.
    - git add app.js: app.js 변경사항만 올린다.
  • git commit
    스테이징 영역에 올라가 있는 변경사항을 하나의 기록(History)으로 남깁니다.
  • git remote add
    git remote add <name> <url> 명령어로 Local Repository 에 <name>이라는 이름의 Remote Repository 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url> 에는 Remote repository의 주소가 들어갑니다.
  • git push
    Local Repository에 존재하는 Push 되지 않은 변경사항을 Remote Repository에 업로드 합니다.
  • git clone
    Remote Repository로 부터 프로젝트를 복제합니다.
  • git pull
    Remote Repository에 새로 올라온 변경사항을 Local Repository로 가져옵니다.
  • .gitignore 파일?
    - .gitignore 라는 이름의 파일을 프로젝트 폴더 최상단에 두고 파일 내용을 아래처럼 넣어보세요!
        node_modules

-> node_modules 폴더는 git의 변경사항에 속하지 않게 해주는 역할을 해서 여러분 컴퓨터에 있는 node_modules 폴더를 업로드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gitignore를 편리하게 만들고 싶을 땐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배포 할때 Git은 어떻게 활용될까요?
- 처음 배포하는 서버인 경우
1. git clone
2. npm install
3. 서버 켜기
- 이미 배포 했던 서버의 코드를 최신 코드로 재시작 하고 싶은 경우
1. git pull
2. (필요한경우) npm install
3. 서버 재시작

<실습>
git init
git remote add origin <github 페이지에 나오는 주소>
git add .
git commit -m "first commit"
git branch -M main
git push -u origin main

<변경사항 발생 시>
변경사항이 있는지 확인: git status
git add .
git commit -m "프론트엔드 코드 추가"
git push

  • 왜 명령어가 조금 다를까요?
    처음엔 Remote Repository에 master 라는 이름의 브랜치가 없었기 때문에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기 위해 -u 옵션을 붙였고,
    Remote Repository 이름으로 등록해둔 origin 을 적어 어떤 Remote Repository에 Commit을 push할건지 적었습니다.
    Remote Repository에도 존재하는 브랜치에서 작업하는 경우 단순히 git push 명령어로도 Local Repository에 있는 Commit을 올릴 수 있습니다.

.gitignore에 추가했는데 반영 안될 때

  • 이미 한번 올렸던 파일의 경우 gitignore에 추가해도, 반영되지 않는 듯 보일 때가 있다.
    이때는 git 캐시를 지워주면 반영된다!
    git rm -r --cached .
profile
개발자가 되는 과정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