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와 함께하는 공부

gyeongseon·2023년 10월 9일
0
post-thumbnail

🧐 Intro

최근 들어서 나는 개발관련 공부하는 방법이 많이 달라지고 있다. 나는 소개하는 방법처럼 공부한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다들 어떻게 공부하는지 궁금하여 글을 작성합니다.

👈 과거 공부

과거에 공부할 땐 주로 책, 강의을 이용했습니다. 알려주는 모든 내용을 손과 머리로 기억하기 위해 핸즈온으로 작업을 많이 했었고 메서드의 기능까지 암기하면서 공부했었던 것 같습니다.

최근에 혼자서 관심있는 기술스택을 공부하면서 위와 같이 공부하는게 미련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미련하다고 판단한 이유 !

  • 외우기 위해서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
  • 정작 나중에 사용하지 않는 것들도 공부하기 위해서 시간을 낭비한다.
  • 위와 같이 공부해도 적재적소에 사용하지 못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시간도 버리고 사용할 때도 적절히 사용하지 못했다. 😭😭😭

👉 현재는 ?

어떻게 공부법을 변경해야지 좋을까 생각했습니다. 위에서 등장한 단점들을 해결하는 것을 우선으로 생각했습니다.

  • 빠른 시간동안 기술에 대해서 공부한다.
  • 적절한 상황에서 적절한 기술을 사용한다.

최근 GPT를 많이 사용하고 활용합니다.

이제는 내용을 모두 암기하는게 아니라 이해를 하고 주요한 컨셉들에 대해서만 기억합니다.

예를 들어 최근 Pandas Package 를 공부했습니다. 아래 큰 개념들이 존재합니다.

  • Series의 구조
  • DataFrame 의 구조
  • DataFrame 에서 데이터를 다양한 방법으로 필터링 할 수 있다. (Series 역시 동일)
  1. 개념을 학습합니다. 깊게 파지 않습니다.
    "이런기능이 있구나 !!" 이정도 수준으로 공부합니다.
  2. 예제 코드들을 봅니다.
  3. 이후 pandas를 사용할 때 GPT에게 질의합니다.
  4. 답변과 학습했던 내용과 적절히 비교하여 사용합니다.

이렇게 하면 시간도 절약되고 기억하고 있는 코드를 사용해서 스파게티를 만드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었다.

⭐️최근 나는 GPT 를 보면서 이런 생각을 한다.

GPT는 계산기다.

계산기를 사용해서 사람들은 빠르게 연산할 수 있었다. 인간의 역할은 수식을 모델링 하는 일이다. 그리고 개발공부를 하는 입장에서 이와 유사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GPT에게 질문할 질문 모델링을 잘 해야한다.

🎬 Outro

결과적으로 내가 GPT와 함께 공부하는 방법에 대해서 얘기했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나는 GPT를 거의 계산기와 유사하다고 생각한다.

끝으로 여러분들의 생각이 정말 궁금하다. 나와 비슷하게 공부하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고 다른 방법을 선택한 사람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여러분들의 공부법은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궁금하고 공유하고 싶다!! 🧐

profile
경선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