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gogoworld1·2022년 9월 24일
0
post-thumbnail
  • 전역변수 : 블락 밖 한 어디서든 쓰일 수 있는 변수

  • 지역변수 : 블락 {}안에서 선언된 변수, 블락안에서만 쓸 수 있는 변수

  • var같은 경우 함수만 지역변수로 호이스팅이 되고 나머지는 다 전역변수로 올려버린다
    🐤함수만 제외하고!

var a = 1
console.log(a)
var a = 2
console.log(a) //이것도 프린트된다...

주민등록번호를 같은걸 2개를 쓰는 꼴!!
이래서 var가 문제가 많다...
그래서 Let을 만든거다
Let 또한 호이스팅이 되는데 Temporal death zone(TDZ) 짠! 이런게 있다
TDZ가 무엇이냐면 a가 호이스팅으로 기억이 된건 알겠어 하지만 a 선언문이 나오기 전까지 너는 a에 접근 할 수 없어 이런 뜻이다
한마디로 일시적으로 너는 죽은 Zone이야!라는 개념

  • pop() : 배열 끝에있는 아이템을 제거, 그 아이템값을 리턴

  • push(‘아이템’): 배열 끝에 아이템 추가, 배열의 최종 길이 리턴

  • includes(‘아이템’): 배열에 아이템이 포함되어있으면 true리턴 아니면 false 리턴

  • indexOf(‘아이템’): 아이템의 인덱스 번호를 리턴

  • slice(시작점, 끝점): 시작점~끝점(미포함) 까지 배열을 복사해서 리턴

  • splice(시작점,개수): 시작점부터 개수만큼 실제 배열에서 아이템 제거

  • length : 배열 함수는 아니지만 배열의 크기를 리턴해주는 속성

profile
고고월드1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