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망블리
② MDM / MAM
※ BYOD
BYOD는 "Bring Your Own Device"의 약어로, 조직이나 기업에서 직원들에게 개인 디바이스(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를 업무에 사용하도록 허용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BYOD는 직원들이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동시에 조직은 특정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Nubo는 모바일 가상화 관련 외산 솔루션이다. 앞으로 Nubo를 이용한 앱(서버)을 개발할 예정이므로, 먼저 주어진 가이드 문서를 따라 Nubo 솔루션을 직접 구성해보고, 모바일 클라이언트에서 실제로 접속해보았다. 기본 구성 방법을 통해 알게 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사용된 이미지는 아래와 같다.
① .mf(Manifest) 파일
② .ovf (Open Virtualization Format) 파일
③ .vmdk (Virtual Machine Disk) 파일
※ .ovf와 .iso
ISO는 광 디스크 이미지를 나타내는 표준 포맷으로, 광 디스크(예: CD, DVD)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기 위해 사용한다. 주로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 배포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두 확장자 모두 가상머신의 이미지로 자주 사용되지만, 굳이 차이를 두자면 OVF는 가상 머신 및 관련 리소스의 패키지 형식이며, ISO는 광 디스크 이미지 형식이다.
이미지를 Import하여 가상 시스템 배포할 때에는 OVF 또는 OVA 파일을 이용한다. 여기서 OVA란, 가상 머신을 쉽게 배포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파일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OVA는 OVF의 패키지 형식이기 때문에, 단일 OVA를 사용하거나, OVF + VMDK 조합을 사용하여 배포할 수 있다. 여기서는 ovf, vmdk 파일을 이용하였다.
디스크 프로비저닝이란, 가상화 환경에서 가상 머신에 대한 스토리지를 할당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디스크 프로비저닝의 방식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된다.
① Thick Provisioning(총 할당)
② Thin Provisioning(얇게 할당)
아래의 명령을 입력한 후, addresses에 서버의 정적 IP를 할당하고, gateway4에 gateway 주소를 지정한다.
sudo vi /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
참고로, 8.8.8.8은 Google Public DNS의 주소 중 하나로, 무료로 제공되는 공개 DNS 서비스이다.
※ 게이트웨이 VS 라우터
게이트웨이는 다른 네트워크(다른 서브넷)와의 통신을 중개하는 네트워크 포인트로, 로컬 네트워크의 컴퓨터들이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반면, 라우터는 여러 네트워크 간의 패킷을 전달하고 라우팅 결정을 내리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위에서 설정한 외부 DNS(8.8.8.8)외에 로컬 DNS 정보도 존재한다. 아래의 명령을 이용해 로컬 DNS의 서버의 주소를 알 수 있다.
cat /etc/resolv.conf
IPv4 주소 체계에서 127.0.0.1부터 127.255.255.254까지의 주소 범위는 loopback 주소로 알려져 있다. 이 주소 범위는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로컬 호스트와의 통신을 위해 예약되어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127.0.0.1은 localhost라는 호스트명과 연결되어 로컬 시스템을 가리키는 주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동일하게 nameserver 127.0.0.53은 현재 시스템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로컬 DNS 서버를 가리키는 표현이다.
외부 DNS와 로컬 DNS가 함께 존재할 때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이점은 아래와 같다.
① 속도 향상
② 캐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