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기초 -2

아기코딩단2·2022년 4월 12일
0

display: none
=> 출력 대상에서 제외시킨다.
=> 태그가 차지했던 영역은 사라진다.

visibility: hidden
=> 출력 대상이 존재하지만, 화면에만 보이지 않게 한다.
=> 따라서 태그가 차지했던 영역은 그대로 둔다.

float
=> 태그가 출력되는 현재 위치에서 공중부양시킨다.
=> 다음 태그가 현재 태그의 자리를 차지할 것이다.
=> left 또는 right 정렬만 가능하다.
=> float일 때 유의할 점
1) width와 height를 지정하지 않으면, inline 처럼 콘텐츠의 크기에 따라
너비, 높이가 결정된다.
2) margin이 서로 겹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다.
일반적인 경우 위,아래 margin은 서로 겹쳐 표현한다.

위 아래 margin 은 서로 겹친다.

공중부양 시키면 위아래 태그가 겹치지 않음
즉 너비높이 계산에서 빠져버림

공중부양 시키고 너비주는법 margin을 이용하라 test10_3.html
10_4사용해서 중고거래 만들기 하면 됨
position 에 float 없음
position : absolute; 임

clear 는 absolute에서 먹히지 않음

position: fixed
=> 웹브라우저의 클라이언트 영역을 기준으로 위치를 지정한다.
=> 클라이언트 영역?
웹브라우저의 툴바 아래에 위치한 내용이 출력되는 화면이다.
=> 내용을 위,아래로 스크롤하더라도 fixed 타입의 태그를 움직이지 않는다.
=> 화면 스크롤과 상관없이 웹브라우저의 특정 영역에
내용을 띄우고 싶을 때 사용한다.

cursor: pointer; <= 이렇게 쓰면 마우스가 올라갔을 때 손가락으로 바꿔줌
fixed - 고정상태

CSS 링크 지정하기

three.js

profile
레거시 학살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