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asticsearch vesion 업그레이드 하던 절차를 정리해봤다.1) elastic 업그레이드할 version 설치2) elasticsearch.yml 기존과 동일하게 설정 사용하던 사전, plugin 세팅하기, jvm.options 등여기까지 업그레이드할
elasticsearch rolling restart를 하려던중에 먼저 재기동시 샤드가 움직이는걸 막기 위해 routing을 none으로 해야하는데옵션이 persistent와 transient가 있어 둘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GET \_cluster/settings?i
\*\*모니터링 클러스터를 따로 설정시jvm heap 메모리를 30g쓴다는 내용.최대값이 30g이다.
startstop
노드 교체 1. shard routing none 2. 추가할 노드 start 3. 제거할 노드 stop 4. 추가한 노드 클러스터에 들어왔는지 확인 5. shard routing null 6. shard가 initializing 되는지 모니터링 7. sha
elasticsearch에서 작업중인 task 확인 하는 방법 실행중인 task 확인하기 task 취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저장되는 데이터 양과 종류쿼리의 빈도와 종류이것들을 고려하여 테스트한 후 결정하는것이 중요하다. 즉 자기 서버사양과 사용목적에 따라 노드 수를 결정할 것.실제로 테스트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한 노드로 클러스터를 만든 후 계속해서 한노드를 추가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