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들을 고려하여 테스트한 후 결정하는것이 중요하다. 즉 자기 서버사양과 사용목적에 따라 노드 수를 결정할 것.
실제로 테스트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한 노드로 클러스터를 만든 후 계속해서 한노드를 추가해가며 Circuitbreak가 나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지점까지 테스트 진행
CircuitBreakingException이 발생하면 계속 노드를 추가해서 에러가 안나오는 지점까지 확인해보기
나는 동접자 3명가지 oo한 쿼리가 잘 돌아가야한다! -> 계속 테스트 -> 에러 발생X -> 해당 노드수로 클러스터 구성 결정!
처음부터 몇 대의 노드를 사용하면 좋을지 알 수 없지만...
테스트해가며 자신의 서비스에 맞는 노드 수를 산정하는 과정이 필요할듯 하다.
그리고 테스트했을땐 circuitbreak가 나지 않아 10대로 선정했다 하여도 특정 시점에 쿼리가 몰리거나, 색인작업이 많다 하면 또 circuitbreak가 나는것은 어쩔 수 없을 듯 하다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