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1926번 : 그림

ghltjd369·2023년 4월 12일
0

📌 출처

1926번 : 그림

📝 문제

어떤 큰 도화지에 그림이 그려져 있을 때, 그 그림의 개수와, 그 그림 중 넓이가 가장 넓은 것의 넓이를 출력하여라. 단, 그림이라는 것은 1로 연결된 것을 한 그림이라고 정의하자. 가로나 세로로 연결된 것은 연결이 된 것이고 대각선으로 연결이 된 것은 떨어진 그림이다. 그림의 넓이란 그림에 포함된 1의 개수이다.

⌨ 입력

첫째 줄에 도화지의 세로 크기 n(1 ≤ n ≤ 500)과 가로 크기 m(1 ≤ m ≤ 500)이 차례로 주어진다. 두 번째 줄부터 n+1 줄 까지 그림의 정보가 주어진다. (단 그림의 정보는 0과 1이 공백을 두고 주어지며, 0은 색칠이 안된 부분, 1은 색칠이 된 부분을 의미한다)

🖨 출력

첫째 줄에는 그림의 개수, 둘째 줄에는 그 중 가장 넓은 그림의 넓이를 출력하여라. 단, 그림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는 가장 넓은 그림의 넓이는 0이다.

💻 내 코드

1. 리스트를 사용하여 구현


import java.awt.*;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p1926 {
    private static int N;
    private static int M;
    private static int cnt;
    private static int pic_cnt;
    private static int[][] map;
    private static boolean[][] visited;
    private static BufferedReader br;
    private static StringTokenizer st;
    private static int[] dx = {-1, 0, 1, 0};
    private static int[] dy = {0, 1, 0, -1};
    private static Queue<Point> queu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queue = new LinkedList<>();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ap = new int[N + 1][M + 1];
        visited = new boolean[N + 1][M + 1];

        for (int i = 0; i < N;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j = 0; j < M; j++) {
                map[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int max = 0;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M; j++) {
                if (!visited[i][j] && map[i][j] == 1) {
                    cnt = 0;
                    visited[i][j] = true;
                    queue.add(new Point(i, j));
                    bfs();
                    if (cnt > max) max = cnt;
                    pic_cnt++;
                }
            }
        }

        System.out.println(pic_cnt + "\n" + max);
    }

    private static void bfs() {
        while (!queue.isEmpty()) {
            Point point = queue.poll();
            int x = point.x;
            int y = point.y;


            for (int i = 0; i < 4; i++) {
                int nx = x + dx[i];
                int ny = y + dy[i];

                if (nx < 0 || nx >= N || ny < 0 || ny >= M) continue;
                if (visited[nx][ny] == true) continue;
                if (map[nx][ny] == 1) {
                    queue.add(new Point(nx, ny));
                    visited[nx][ny] = true;
                }
            }

            cnt++;

        }
    }
}

✏ 설명

전에 한 번 풀어봤던 문제이다.
당시에는 C++로 풀었었기 때문에 자바로 풀어보고자 다시 한 번 풀어봤는데 풀어보길 잘 한 것 같다.
같은 문제라도 언어가 다르니 조금 어색하게 다가왔다.

BFS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는데 Queue를 선언할 때 Point라는 것을 활용하였다.

처음에는 visited[nx][ny]를 실제로 그 노드에 방문할 때 true로 바꿔주었다.
자꾸 오류가 나서 확인해보았더니 queue에 중복된 값이 들어갔다.
따라서 queue에 집어넣었으면 집어넣었다는 의미로 visited를 활용하였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