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전송로: 아날로그 > 디지털 신호로 전송
Trivial File Transfar Protocol : 네트워크를 통한 파일 전송 서비스 : FTP보다 훨신 큰 효과
Anycast : 1개의 ip에게 특정 전송 / Unicast : 1개의 random ip에게 전송
Network Address Traslation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바꿔주는데 사용한 통신망의 주소 변환 기술
MultiFlexing
하나의 회선을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채널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터미네이터(Terminator)가 시그널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
응용계층>표현계층(프레젠테이션) > 세션계층 > 트렌스포레이션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물리 계층
교환망
48bit (IPV4 : 32bit / IPV6 : 128 bit)
Data Excution Prevention
데이터 실행 방지 프로토콜
= Hype - V 가 꼭 필요!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메모리 양을 늘리기 위해 디스크 장치를 이용하는 것 (가상)
Window Server 2008 R2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또 다른 서버 간의 인증 및 상호 인증을 제공하는 인증 프로토콜 = 일종의 키분배 센터(KDC) = 버전 5로 구현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킷 수신 > 패킷의 목적지 주소 정보를 라우팅 태이블에서 검색 > 목적지 주소가 라우팅 테이블에 없다면 해당 패킷을 하기하고, 있다면 어느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 인터페이스가 결정 되면 패킷을 해당 인터페이스로 전송한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80번 포트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443번 포트
FTP (File Transfer Protocol): 21번 포트
SSH (Secure Shell): 22번 포트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25번 포트
POP3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110번 포트
IMAP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143번 포트
DNS (Domain Name System): 53번 포트
Telnet: 23번 포트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161번 포트
RDP (Remote Desktop Protocol): 3389번 포트
NTP (Network Time Protocol): 123번 포트
SMB (Server Message Block): 445번 포트 (Windows 파일 및 프린터 공유)
LDAP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389번 포트
HTTP Proxy (Web Proxy): 8080번 포트
TYPE
3 : Destination Unreachable
4 : Source Quench
5 : REdirect
8 : Echo Request <-> 0 : Echo Reply
11 : Time Exceeded
12 : Parameter Problem
Simple Network Management
IPv6 헤더 형식에서 네트워크 내에서 혼잡 상황이 발생되어 데이터 그램을 버려햐 할 경우 참조되는 field
(Carrier-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WAN : 지역적으로 넓은 영역에 거리 구축(인터넷 백본망) /
MAN : WAN + LAN /
LAN : 소규모의 범위가 그리 넓지 않는 지역(근거리 통신망)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들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노드
R2 DNS서버 설정에서 호스트 이름(도메인 주소)을 IP 주소로 해석해 주는 시스템
반대로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도메인 주소)으로 변환해주는 시스템, PTR 레코드를 사용하여 구현
Windows Server 2016 의 특징 중 고가의 서버 컴퓨터 한대에 여러 대의 서버를 가상화하여 실제 물리적인 서버 컴퓨터의 효율을 극대화 하는 기술
/etc: 시스템 설정 파일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 네트워크 관련 설정 파일들도 이 디렉토리 안에 존재
/var/log: 로그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네트워크 이벤트, 연결 상태, 오류 등 네트워크 관련 로그들이 기록
/var/log/dmesg : 하드웨어적인 이상 유무나 디스크, 메모리, CPU, 커널 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로그파일
/etc/sysconfig: 시스템 설정 파일들을 포함하고 있는 디렉토리,네트워크 설정과 관련된 파일들이 이 디렉토리 기록
/proc/sys/net: 이 디렉토리는 /proc 파일 시스템을 통해 커널 파라미터와 관련된 정보에 접근, 네트워크와 관련된 여러 파라미터들이 이 디렉토리 안에 기록
/etc/network: 네트워크 설정 파일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과 관련된 내용 기록
/etc/netplan: 네트워크 설정을 YAML 형식으로 관리하는 Ubuntu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디렉토리, Netplan은 네트워크 설정을 추상화하고 관리하기 위한 도구
/etc/hostname: 시스템의 호스트 이름을 설정하는 파일,호스트 이름은 네트워크 식별을 위해 사용되며, 이 파일을 통해 설정
/etc/resolv.conf: DNS 서버 설정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시스템이 DNS 서버를 찾아가는 방법과 관련된 정보가 기록
/etc/host.conf : 어떤 특정 도메인에 대해 IP주소 값을 찾을떄 주소 값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결정하는 파일
/tmp: 임시 파일들이 저장되는 곳,시스템 재부팅 시에도 파일이 유지되지 않으며, 임시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에 필요한 임시 파일기록
/usr (Unix System Resources 또는 User System Resources의 준말):시스템 리소스와 프로그램들이 설치되는 기본 디렉터리 중 하나.주로 시스템 외부에서 설치된 소프트웨어들이 위치하며, 시스템의 핵심 파일들과는 별도로 관리됩니다.
/usr/bin: 시스템 사용자들이 주로 실행하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들이 위치합니다.
/usr/lib: 프로그램들이 공유 라이브러리 파일을 포함하는 디렉터리입니다.
/usr/include: 개발용 헤더 파일들이 위치합니다.
/usr/share: 아이콘, 이미지, 도움말 파일 등의 공유 자원들이 위치합니다.
/usr/local: 로컬로 설치된 소프트웨어들의 기본 설치 디렉터리입니다. 시스템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설치된 것이 아니라 사용자나 관리자가 직접 설치한 프로그램들이 여기에 위치할 수 있습니다
(Load Balancing)
사용량과 처리량을 증가시키고 지연율을 낮추며 응답시간을 감소시키고 시스템 부하를 피할 수 있게 하는 최적화 기술
(Virtual Local Area Network)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네트워크 장치들을 논리적으로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하는 기술로, 물리적인 망 구성과는 상관없이 네트워크 관리와 구성을 유연하게 가능
IEEE 802.11 => CSMA/CA(NIC)
TCP 헤더 수신측 버퍼의 크기에 맞춰 송신측에서 데이터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할수 있게 해주는 field를 이용한 흐름 제어 기법
TCP : 신뢰성 있는 전송 / 연결형 (양방향)/ 순차적 / 헤더의 플래그 : URG, ACK, PSH, RST, SYN, FIN
UDP : 비 신뢰성 있는 전송 / 비 연결형(단방향) / 비순차적 / 대규모 통신에 적합 / 브로드 캐스트 이용
네트워크 계층에 속하는 프로토콜로 실제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
Quality of Service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데이터 흐름 등에 우선 순위를 정하여 데이터 전송에 특정 수준의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능력
Software - Defined Networking
라우터나 스위치와 같은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이나 연결 경로 등을 물리적인 기기의 도입과 배선 작업을 하지 않아도 소프트 웨어 설정 만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10m 이내의 짧은 거리에 존재하는 컴퓨터와 주변기기, 휴대폰, 가전제품 등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기기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영역
여러대의 컴퓨터에 분산된 공유 폴더를 하나로 묶어서 마치 하나의 폴더인것 처럼 사용
서버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만 이미지로 만들어 프로세스처럼 동작시키는 경량화 된 가상화 방식 - 컨테이너라 부름
신호를 증폭시키기만 할 뿐 데이터 내용은 변경하지 않으며, 근거리 통신망을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을 확장하거나 서로 연결하는 데 주로 사용한다
근거리 통신망을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을 확장하거나 서로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
Open Shortest Path First
Link State 알고리즘을 이용해 서로에게 자신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며 네트워크 내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롱기스트 매치 룰
패킷의 목적지 주소와 라우팅 테이블의 entry 중 prefix mask 길이를 고려하여 해당 패킷을 forwarding한다.
OSPF 프로토콜이 최단 경로 탐색에 사용하는 기본 알고리즘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기능 중 수신측에서 데이터 전송량이나 전송 속도 등을 조절하는 기능
File Server REsource Manager
Window Server 2016에서 폴더에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제한하고, 특정한 파일의 유형은 업로드하지 못하도록 설정하여 서버 담당자는 좀더 유연하고 안전한 파일 서버를 구축해야할 서비스
500 - Internal Server Error : 잘못된 Script
501 - Not Implemented :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 내용 중에서 일부 명령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
502 - Bad Gateway : 서버 과부화
503 - Not implemented :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 내용 중에서 일부 명령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
광 케이블
사람의 머리카락 굵기 만큼의 가는 유리 섬유로, 정보를 보내고 받는 속도가 가장 빠르고 넓은 대역폭을 갖음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 (비대칭)
Automatic Repeat Request
에러 검출 후 송신 측에게 에러가 발생한 데이터 블록을 재 전송하도록 요청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방식
전송 효율을 최대로 하기 위해 프레임의 길이를 동적으로 변경시킬수 있는 ARQ방식
에러가 발생한 블록으로 되돌아가 모든 블록을 재전송 하는 방법
Time Division Multiplexer
다중화 시 전송할 데이터가 없더라도 타임 슬롯이 할당되어 대역폭의 낭비를 가져오는 다중화 방식
Trusted Platform Module
BitLocker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메인보드와 BIOS에서 지원해야 하는 기능
PC의 보안을 향상하는 데 사용
BitLocker 드라이브 암호화, Windows Hello 등 서비스에서 암호화 키를 안전하게 만들고 저장하고, 장치에서 원래 사용되어야 할 운영 체제와 펌웨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변조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데 사용
하드디스크가 도난당해도 암호화 키가 없이는 데이터를 읽지 못하도록 하드디스크 자체를 암호화하는 기술
가상 랜
한대의 스위치에서 네트워크를 나누어 마치 여러 대의 스위치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하나의 포트에 여러개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할수 있게 해주는 기능
두개의 완전히 다른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는 장치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기 위해 거치는 거점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경로 설정 protocol
Address Resolution Protocol/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이 두 프로토콜은 주로 이더넷 또는 IP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네트워크 장비 간의 물리적 주소와 논리적 주소 간의 매핑을 관리합니다.
ARP = 논리적인 IP 주소를 물리적인 MAC 주소로 매핑하는 프로토콜
RARP = ARP의 반대 개념으로, 물리적인 MAC 주소에서 논리적인 IP 주소로의 매핑을 수행
A : 10.0.0.0 ~ 10.255.255.255
B : 172.16.0.0 ~ 172.31.255.255
C : 192.168.0.0 ~ 192.168.255.255
1xx : 요청이 수신되어 성공 처리 (information)
2xx : 요청 정상 처리 (Succeful)
3xx : 요청을 완료하려면 추가작업 필요 (Redirection)
4xx : 클라이언트 오류 (Client Error)
5xx : 서버 오류 (Server Error)
0 : 종료
1 : 단일모드
2 : 다중 user 모드
3 : 다중 user 모드
4 : ❌
5 : 시스템 종료
6 : reboot
/var/log/boot.log : 시스템 부팅시의 로그
/var/log/dmesg : 부팅될 당시의 각종 메시지 저장
/var/log/wtmp : 시스템 전체 로그인 기록 저장
Wearable Computing; Wearable Device
신체 능력을 보완하거나 배가시킬 수 있는, 안경·시계·의복 등과 같은 착용할수 있는 형태의 디바이스로 구성된 컴퓨팅 환경
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 사설망
둘 이상의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연력하기 위해서 가상의 터널을 만든 휴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워크
0 = stripe 2
1 = mirroring 2
2,3,4 = Dedicated Parity Bit 3
5 = Distributed Parity Bit 3
6 = Distributed Parity Double Bit 4개 이상
Wireless Mesh Network
기존의 유선망으로 연결한 AP로 구성된 환경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나온 기술
연결안된 AP가 인터넷/ 인트라넷에 연결된 Ap에 WDS(Wireless Distribution System)으로 연결!
Windows Server 2012 R2 클러스터 노드에서 Windows Server 2016으로 운영체제 업그레이드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으로 IP Address를 할당해 줄수 있는 프로토콜
정방향 조회 영역 (Forward Lookup Zone):
정방향 조회 영역은 DNS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데 사용
역방향 조회 영역 (Reverse Lookup Zone):
역방향 조회 영역은 IP 주소를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
리스팅 방지, 심볼릭 링크 사용방지, SSI(Server- Side includes) 사용제한, CGI 실행 디렉터리 제한 등의 보안 설정 진행
window : wf.msc
OSI 물리 계층에서 여러대의 PC를 서로 연결할 떄 전기적인 신호를 재생하여 신호분배 기능을 담당
데이터가 DNS 서버 캐시로 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
GRUB / GNU / LILO => 다른 운영체와 Linux가 공존하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멀티부팅을 지원할때 사용
lsattr = 리눅스 파일 속성 => chattr
lsblk = 리눅스 스토리지 디바이스 정보 (List Block Device)
작업 중인 터미널을 닫아도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작업 될 수 이도록 해주는 명령어
답:4
풀이**
C class를 서브넷4개로 분할
192.168.1.0~192.168.1.63
192.168.1.64~192.168.1.127
192.168.1.128~192.168.1.191
192.168.1.192~192.168.1.255
C클래스의 넷마스크값은 255.255.255.192 임을 묻는 문제
색다른 풀이...
호스트갯수가 64라고 하니 64는 2의 6승을 의미
한마디로 여섯비트가 호스트ID라는 소리
여섯비트가 호스트ID면 나머지 두비트만 네트워크ID라는소리
두 비트만 네트워크 ID면 2진수로 11 000000 라는 얘긴데
이건 십진수로 192 니까...
255.255.255.192 라는소리
답:2
A : 255.0.0.0
B : 255.255.0.0
C : 255.255.255.0
답:1
풀이**
서브넷마스크가 255.255.255.192 이니깐 C클래스에 해당되고
서브넷 마스크의 네번째옥텟이 192 이므로 서브네트워크갯수가4조각임을 알수있고
그러면 그 4개의 서브네트워크는 아래와같다
211.211.211.0~211.211.211.63
211.211.211.64~211.211.211.127
211.211.211.128~211.211.211.191
211.211.211.192~211.211.211.255
여기서 게이트웨이가 211.211.211.1 인 대역은 첫번째 대역(211.211.211.0~211.211.211.63)에
해당되는것이고 이 범위안에 해당하는 보기는 1번 이다.
답:3
풀이**
ip주소와 넷마스크만보고도 어떤class인지 분간할줄 아는지 묻는문제이고
A class 는 255.0.0.0
B class 는 255.255.0.0
C class 는 255.255.255.0 임을 알고있는지를 확인하는 문제인 것이다
보기 1번에선 B class이므로 네트워크주소가 123.234.0.0 라고 해야하고
보기 2번에선 B class이므로 네트워크주소가 134.56.0.0 라고 해야하는데
보기 2번같은경우엔 넷마스크도 잘못되어있다..255.255.0.0 라고 되있어야하는데
255.255.1.1 이런식의 넷 마스크는 존재하질 않는다.
보기 3번은 A class 이고 네트워크주소도 55.0.0.0 잘 표기되어있다
보기 4번은 C class 니까 네트워크주소는 203.128.46.0 이라고했어야 올바른 표기다.
넷마스크로 사용가능한 숫자= 0,128,192,224,240,248,252,254,255
답: 2
풀이**
127.0.0.1 는 루프백(Loop back)주소라고한다.
루프백은 컴퓨터의 네트워크 입출력 기능을 시험하기위하여 가상으로 할당한
인터넷 주소로서 로컬 컴퓨터가 자신을 표현하는 주소이다
고로 자신의 값이 정답이다
6. 다음 중 C 클래스에 속하는 IP 주소로 알맞은 것은?
① 64.2.35.1/255.255.0.0
② 87.24.55.30/255.0.0.0
③ 187.45.54.128/255.255.0.0
④ 192.168.1.3/255.255.255.0
답:4
풀이**
A : 0~127
B : 128~191
C : 192~223
D : 224~239
E : 240~255
답:4
풀이**
문제에서 제시된 ip는 B class이므로
대역대는 128.0.0.0~191.255.255.255 이다
여기서 게이트웨이가 191.1.x.x 형식이다
앞에 두번째옥텟까지는 고정으로 시켜둔 ip만이 소속되어있는거다.
따라서 191.1.x.x 형식에 부합되지않은 주소가 정답이다
8. 홍길동의 사무실에서는 서브넷 마스크 255.255.0.0을 사용하고,
게이트웨이의 IP주소는 167.123.0.1을 사용한다. 다음 중 홍길동의 사무실 PC에서 사용 할 수 있는 IP 주소는?
① 167.123.0.21 ② 167.124.1.255
③ 167.123.0.1 ④ 167.12.3.21
답:1
풀이**
문제에서 제시된 ip주소는 B class(128.0.0.0~191.255.255.255)이고
B class이면서 게이트웨이가 167.123.0.1 이므로
167.123.0.0~167.123.255.255 가 대역대가 된다
근데 이중에서 167.123.0.1은 게이트웨이이고 167.123.255.255는 브로드캐스트가되니
이 두가지는 일반적으로 pc에서 사용불가능한 주소이다
따라서 3번은 정답이 될수없고
B class이므로 167.123.x.x 꼴이 아닌 보기2,4번도 정답이 될수없다
9. 하나의 C클래스 네트워크를 4개의 서브 네트워크로 구성할 경우 서브넷마스크 값은 어느 것인가?
① 255.255.255.0 ② 255.255.255.128
③ 255.255.255.192 ④ 255.255.255.224
답:3
풀이**
4개의 서브네트워크로 구성되어있다는말은 2의 2승개 임을 의미한다
4개의 서브네트워크는 2^2=4
2승이므로 두 비트만 쓰고 나머지 여섯비트는 우측으로 넘긴다
그러면
11 000000 이 된다
128+64 = 192 이므로 네번째옥텟은 192가 됨 ..고로 ..
넷마스크가 255.255.255.192 라는 말 속에는
C클래스임을 의미하면서 동시에 그 C클래스가 4개의 서브네트워크로 쪼개져있음을 의미한다.
답:3
풀이**
두개의 네트워크로 구성되었다는말은 2의 1승을 의미한다
1승 이므로 1개비트만 쓰고 나머지 비트는 우측으로 넘겨서 생각해보자
1 0000000 이되는것이다. 이것은 곧 십진수로128을 의미한다
고로 255.255.255.128 이 넷마스크값이된다.
따라서 넷마스크값이 255.255.255.128이다는 말 속에는
C클래스임을 의미하면서 동시에 그 C클래스가 2개의 서브네트워크로 쪼개져있음을의미한다.
같은방법으로 8개의 서브네트워크로 구성되어있다면
8은 2의3승이므로 111 00000 이고 이것은 십진수로 224이니깐
서브넷 마스크값은 255.255.255.224 가 되는것이다
넷갯수2개=>마스크값 255.255.255.128
넷갯수4개=>마스크값 255.255.255.192
넷갯수8개=>마스크값 255.255.255.224
넷갯수16개=>마스크값 255.255.255.240
답:3
풀이**
A : 0~127 (0.0.0.0~127.255.255.255)
B : 128~191
C : 192~223
D : 224~239
E : 240~255
답:3
풀이**
A : 0~127 (0.0.0.0~127.255.255.255)
B : 128~191
C : 192~223
D : 224~239
E : 240~255
가. 게이트웨이(Gateway) : 192.168.0.254
나. 서브넷마스크(Subnetmask) : 255.255.255.0
① 192.168.1.150 ② 192.168.0.160
③ 192.168.160.150 ④ 168.192.0.160
답:2
풀이**
C class이므로 192.168.0.x 이런형식의 주소
14. 다음 중 B클래스에 속하는 IP주소로 알맞은 것은?
① 127.10.17.253 ② 128.211.12.22
③ 192.168.3.221 ④ 223.45.62.124
답:2
풀이**
A : 0~127 (0.0.0.0~127.255.255.255)
B : 128~191
C : 192~223
D : 224~239
E : 240~255
① 255.255.255.0 ② 255.255.255.64
③ 255.255.255.128 ④ 255.255.255.192
답:3
풀이**
네트워크주소가 192.168.3.128 이라고 주어졌다
즉, 이 대역의 시작주소가 192.168.3.128 이라는소리다
그리고 브로드캐스트주소가 192.168.3.255 라고 주어졌다.
즉, 이 대역의 끝주소가 192.168.3.255 라는 소리다
다시말해 이 대역의 범위는
192.168.3.128 ~ 192.168.3.255 라는 소리다
128~255는 256개중에 딱 절반 에 해당된다.
다시말에 딱 2조각으로 나뉜거라는 소리다
서브네트워크가 딱 2 개라는 소린거다
문제에서 제시된 이 ip주소는
192.168.3.0~192.168.3.127
192.168.3.128~192.168.3.255 이렇게 되어있다는소리다.
서브네트워크 갯수가 2개라는 말은 2의 1승이 2 이므로
8개의 비트중에 첫번째 한개 비트까지만 네트워크id 이고
나머지 7개의 비트가 호스트id라는 소리와같다.
이진수로 표기하면 1 0000000 라는소리다
이건 십진수로 128 이다
그러면서 C class라고 하니
조건에 맞는 넷마스크는 255.255.255.128 이다.
★16. 다음 중 C 클래스 주소 대역에서 넷마스크값을 255.255.255.192로 설정했을 경우에 서브넷에 속한 전체 호스트의 개수로 알맞은 것은?
① 64 ② 128
③ 192 ④ 256
답:1
풀이**
192는 11 000000 이다
즉 앞에 두비트까지만 네트워크id이고 나머지 뒤에 0 이라고 써진 여섯개의 비트만이
호스트id에 해당된다
여섯개의 비트이므로 2의 6승을 의미하는거고
2의6승은 64 이니까
호스트 갯수는 64개인 것이다.
★17. 다음 조건일 경우에 사용 가능한 호스트 IP 주소 개수로 알맞은 것은?
-C클래스 IP주소대역을 사용한다
① 255 ② 254
③ 253 ④ 252
답: 3
풀이**
인터넷에 연결시켜사용한다는말을 주목할 필요가있다
인터넷에 연결하려면 gateway설정이 되어있어야하기때문에 총 2가지가아니라 3가지가 빠져야한다
아래는 본 문제에 대한 쌤들의 답변이다
쌤1:사용가능한 주소 범위를 구하는 문제인데... 이 문제에서는 네트워크 주소, 브로트캐스트 주소 외에 외부와 통신을 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주소도 사용하고 사용자들이 사용할 호스트의 수를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253개가 되요.
쌤2:총 256개중에서 0, 255 빠지구요
인터넷 연결하려면 gateway 줄거 하나도 빠져야겠죠
쌤3:게이트웨이 빼고 브로드캐스트뺴고 네트워크아이디 빼면 253개요
답:4
풀이**
위 문제는 게이트웨이 안주는거로 가정하고 푸는문제다 따라서 두가지씩만 빼면된다
각각의 서브넷에서 네트워크ID랑 브로드캐스트만빼주면 256-(4x2)=248
19. 다음 중 내부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 사용하는 사설 IP 주소 대역으로 틀린 것은?
① 10.0.0.0 ∼ 10.255.255.255
② 172.16.0.0 ∼ 172.31.255.255
③ 192.168.0.0 ∼ 192.168.255.255
④ 224.0.0.0 ∼ 239.255.255.255
답:4
풀이**
사설 IP 대역은 외우자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20. 다음 중 B 클래스의 사설 IP(Private IP) 대역에 속한 주소로 알맞은 것은?
① 172.15.24.36 ② 172.31.12.22
③ 172.168.5.13 ④ 172.192.168.3
답:2
풀이**
사설 IP 대역은 외우자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가. C클래스 IP주소대역을 사용중이다.
나. 넷마스크값은 255.255.255.192이다
① 4 ② 64
③ 128 ④ 192
답:1
풀이**
192는 11 000000 이니깐 네트워크id가 앞에 두비트까지만 인거니까
네트워크id가 두비트라하면 2의2승개라는소리므로
2의 2승은 4 ...고로 서브네트워크의 갯수는 4개인것이다.
가. C클래스 IP 주소대역을 사용중이다
나.넷마스크값은 255.255.255.192이다
① 4 ② 64
③ 128 ④ 192
답:2
풀이**
위 문제와 같은지식을 묻는 문제이다
192 는 11 000000 이니까 앞 두비트까지 네트워크id , 나머지 여섯비트가 호스트id
여섯비트므로 2의6승을 의미하는거고 2의 6승은 64므로
호스트 수는 64개이다.
23. 다음 중 기본 서브넷마스크 값을 갖는 B 클래스의 호스트 IP 주소 개수로 알맞은 것은?
① 128 ② 256
③ 65,536 ④ 16,777,216
답:3
풀이**
이건 계산할거없이 상식으로 암기해둘 문제이다
A class : 2^24=16,777,216
B class : 2^16=65,536
C class : 2^8=256
============심화============
<풀이>
일단 1개의 서브네트워크에
몇개의 호스트IP가 들어있는구성인지
파악해둘필요가있다
205 = 11001101 이고
/29 bit므로
11001 101 이렇게나뉠것이고
뒤에 세비트만 0으로 만들면
11001 000 이고 이 값은200
따라서 문제에서 시작주소를
알려주지않았어도 충분히
시작주소를 유추할수있다
/29 는 2^5 까지 네트워크ID영역
이므로 2^5 = 32
따라서 서브네트워크갯수는
32개로 분할되어있으며
32개의 서브네트워크라는말은
256/32=8 이니깐~
한개의 서브네트워크당
8개의 호스트IP가 존재한다는뜻.
한개의 서브네트워크영역안에
호스트IP갯수가8개라는말과
시작주소가192.87.140.200이라는
말은곧 192.87.140.200~207 이라는거고
따라서 이 구간의 브로드캐스트는
192.87.140.207
따라서 이 문제는 2진수로바꾸고뭐하고할필요도
없었던 아주 간단한 문제였던것이다
=======================================
172.16.150.115/22 가 있다고 보자 이것은 B클래스임을 알수있고 /22 라는것은 3번째옥텟의 2^6자리까지 서브네트워크
아이디 부분이라는것을 알수있다 총 32개bit중에서 22개bit가 네트워크ID라면 나머지 10개bit는 Host ID부분이라는걸알수있다
또 2^6 = 64 이므로 64개의 서브네트워크가 있음을 알수있다.여기서 주의할것은 Host IP개수를 세번째옥텟의 남은 두bit만
생각해서 2^2=4개 라고 생각하면 안된다는것이다.4개가 아니라 세번째옥텟의 남은2bit와 네번째옥텟의8bit까지 다 생각해줘야
한다는것이다. 따라서 Host IP갯수는 2^2 가 아니라 2^10 인거고 따라서 1024개의 Host IP가 있다고 생각해야한다
세번째옥텟의 150은 2진수로 10010110 이고 /22니까 100101 10 이렇게 나누어서 생각해볼수있고 host IP에 소속된
뒤에 남은두bit를 0 으로 만들어주면 100101 00 이되고 이것은 십진수로 148이므로 172.16.150.115 가 속한 대역의
네트워크 주소는 172.16.148.0 라는것을 알수있다 그리고 넷마스크는 111111 00 이므로 252니까 255.255.252.0 임.
따라서 총 범위는 172.16.148.0~172.16.151.255 이고
가용 IP범위는 172.16.148.1~172.16.151.254 가 된다
서브넷 주소 172.16.148.0
넷마스크 255.255.252.0
브로드캐스트 172.16.151.255
===================================
X.Y.32.1 ~ X.Y.35.254의 IP를 한 개의 네트워크로 사용한다면 넷마스크값은?
<풀이>
32 -->001000 00
33 -->001000 01
34 -->001000 10
35 -->001000 11
따라서 세 번째옥텟에서 우측 두비트만 검사하면되는거니까
넷마스크의 세 번째옥텟은 111111 00 요렇게하면 됨 이값은 곧 252 ..!
따라서 서브넷 마스크값은 255.255.252.0
[출처] 네트워크관리사 ip 관련 시험문제 모음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자주 방문할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