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녈 용량(Channel Capacity)에 대한 설명(){기출문제}
- 정해진 오류 발생률 내에서 채널을 통해 최대로 전송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을 의미
- 측정 단위는 초당 전송되는 비트수(bps)로 나타냄
- 채널을 통해서 보내지는 데이터의 양은 그 채널의 대역폭(Bandwidth)과 비례
차이?
아날로그 눈금 / 디지털은 숫자??
아날로그 = 연속된 신호!란 특성 (끊김이 없는게 특징) = 정확성이 높다!
디지털 = 눈으로 확인이 가능하다(간단하다)는 특성 = 아날로그보다 정확도가 높을순 없다.
연속적인 신호
진폭(Amplitude), 주파수(Frequency), 위상 (Phase) ⭐️
진폭 : 파장이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Peak Amplitude)
주파수 : 단위 시간(1초)당 반복되는 주기의 횟수 = Hz : 헤르츠 ⭐️ ⭐️
위상 : 시작 시점의 위치, 각도
주파수(T) && 주기(F) ==> 반비례 관계 (주기가 짧아지면 주파수는 커짐) =
⭐️다른말로 범용 컴퓨터라고 함
이산적인(셀수 있는) 값을 갖음
0과 1로 표현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유형과 관련하여 아날로그와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설명{기출 문제}
아날로그 데이터는 시간에 따라 크기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정보
하이브리드 컴퓨터는 디지털 데이터와 아날로그 데이터를 모두 처리 가능
디지털 데이터는 복호화(Decode) 과정을 통해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 가능
복호화(Decode) : 복원한다.
아날로그 > 디지털 > 디지털 > 아날로그로 전환되는 과정을 통해 복화화 가능
encode
decode
아날로그 신호의 특징{기출문제}
신호의 형태가 연속적
신호의 표현은 진폭,주파수,위상을 사용 = AFP
신호의 단위는 Hz
브로드 밴드 | 베이스 밴드 |
---|---|
광대역 | 협대역(Narrow Band), 기저대역 |
아날로그 신호 사용 | 디지털 신호 사용 |
원거리에 적합 | 근거리에 적합 |
대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 | 소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 |
단방향 통신 가능 | 양방향 통신 가능 |
변조를 해야 전송 가능 | 변조를 하지 않고 전송 가능 |
FDM 전송 방식 | TDN 전송 방식 |
Frequenct Division Multiplexing | Time Division Multiplexing |
아날로그 방식 = FDM | 디지털 방식 = TDN |
아날로그 신호 감쇄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Amplefier 즉 증폭기를 사용⭐️
디지털 신호는 Repeator라는 장치를 통해 재생성 함!
단방향(Simplex)
: tv, 라디오, 사내방송
양방향(Duplex) = 이중
- 반이중(Haflf-Duplex) : 무전기
- 전이중(Full-Duplex) : 전화 (동시 통화 가능)
LAN카드 : NIC(Network INterface Card)
반이중(Half-Duflex) 통신 방식에 대한 설명{기출문제}
전송 방향을 바꾸는데 소요되는 반전 시간이 필요
양쪽 모두 통신이 가능하다, 한 시점에는 한 방향으로만 전송 가능
A = 65 = 0100,0001
한줄로 전송
대표적으론 usb가 존재
원거리에 적합 ⭐️
여러 회선에 동시 통신
도착 순서가 랜덤 / 가격이 비싸다!
근거리에 적합 (S-ATA) ⭐️ => error에 적합하기 위해
직렬 | 병렬 |
---|---|
Serial | Parallel |
속도 ⬇️ | 속도⬆️ |
가격⬇️ | 가격⬆️ |
거리⬆️ | 거리⬇️ |
단순도⬆️ | 복잡도⬆️ |
병렬 통신의 특징{기출}
-동시에 여러 비트의 데이터를 전송
전송 속도가 빠르다
원거리 통신에 부적합
회로의 구성이 복잡
동기식 | 비동기식 | |
---|---|---|
기차, 전철 | 택시 | |
동기화(약속) | ⭕️ | ❌ |
전송 단위 | 블록(Block), frame, 문자열 | Byte,문자 |
전송 방식 | 전이중 방식 | 반이중 방식 |
휴지기간, 데이터 간격 | ❌ | ⭕️ |
전송 구분 | 동기문자(전송 제어 문자) | Start bit(시작 비트) & Stop bit(종료 비트) |
{기출문제}BSC(Binary Synchronous Control) : 문자 방식의 프로토콜 (동기식/비동기식 둘다 사용 가능)
동기식 전송!
통신회선 예비상태 = SYN => 동기식 전송
동기부호 사용/ 수신시간 => 시간대역을 맞춘다! = 동기식 전송
시작비트와 정지비트는 비동기식!
bps (bit per second)
1초 동안에 전송할 수 있는 비트(bit)의 수 (1bps < 1Kbps < 1Mbps < 1Gbps)
1kpbs = 1000bps , 1Mbps = 1000kbps, 1Gpbs = 1000Mbps
보오(Baud)
1초 동안 발생한 신호 이벤트의 수
baud 와 bps의 관계
- bps = baud * 단위 신호당 bit 수
속도가 2400baud이고 2bit 사용 시 속도(bps)는?
= 2400 * 2 = 4800bps
bit와 위상의 관계
- bit가 x이고 위상이 P일 경우 ▶️ P = 2^x
8 위상 변조이고 속도가 2400baud인 경우 속도(bps)는?
= 8위상(3bit) 2400 * 3 = 720bps
최소한 2위상이여야만 전송이 가능하다!‼️ = 위상이 많으면 많은 비트를 담아서 보낸다!
- 위상과 bit
2위상 4위상 8위상 16위상 1bit 2bit 3bit 4bit
데이터(Data)▶️ | 신호(Signal)⭐️ | 부호화(Encoding) 방식 |
---|---|---|
아날로그 | 아날로그 | AM,FN, PM |
아날로그 | 디지털 | ⭐️PCM,DPCM,⭐️DM,ADM,ADPCM |
디지털 | 아날로그 | ASK,FSK,PSK,APSK(진폭과 위상을 같이 사용) |
디지털 | 디지털 | NRZ,RZ,맨체스터 |
M
Modulation : 변조
sk
Shift keying : 전이 변조
- AM : 진폭을 통해 다른 진폭으로 변환
- FN : 폭을 통해 다른 주파수로 변환,
- PM : 폭을 통해 다른 위상으로 변환!
⭐️표존화(Sampling)> 압축(생략 가능)> 양자화 >부호화⭐️
- 가능 문제
- 주파수가 4KHz다 표본추출 몇번 해야하는거가? 4000Hz * 2 =8000 번 해야 원신호로 복구
- 최소 주파수가 2KHz 최대 8KHz일떄 샘플링 횟수는? 8-2 = 6
6000Hz *2 = 12000번 샘플링
ASK(Amplitude Shift Keying) : 진폭 편이 변조
FSK(Frequency shift Keying) : 주파수 편이 변조 (주파수로 비트 구분)
PSK(Phase Shift Keying, 2-PSK) : 위상 편이 변조
위상 : 시작 시점의 각도
4진 -PSK
8진 -PSK
위상이 많아지면 > 신호가 많아지고 > 비트가 늘어나고 > 진폭이 감소하고(감쇄현상) > 구분하기가 어려워저 장비가 많아지고 > 진폭과 위상을 같이 구분해야한다!!!
RZ : Return to Zero :
NRz : Non Return to Zero : 0으로 돌아오지 않는다!
기본요소 | 설명 |
---|---|
구문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Format), 부호화(Coding), 신호 레벨(Signal Level) 등을 규정 |
의미 | 두 기기 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규정 |
시간 | 두 기기 간의 통신 속도, 메시지의 순서 제어 등을 규정 |
계층 | 기능 |
---|---|
7) 응용계층 | 인터넷의 관련 특정 서비스(웹, 메일, 파일 전송 서비스 등)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즈 제공 (HTTP, FTP, SMTP, Telnet) |
6) 표현계층 | 데이터의 부호화(Encoding) ,암호화/복호화 압축 (JPED,GIF, ASCII, EBCDIC) |
5) 세션계층 | 송수신지 간의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연결 설정, 유지 및 해제 담당 (NetBios, NetBEUI) |
계층 | 기능 |
---|---|
4) 전송계층 | 양종단간(end-to-end) 호스트 사이의 연결 설정, 유지 및 해제 담당,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 및 흐름 제어 기능을 가짐 (TCP,UDP,SPX) |
계층 | 기능 |
---|---|
3) 네트워크 계층 | 호스트 들의 주소체계를 설정, 경로 선택 및 라우팅 기능 수행 (IP,IPX) |
2) 데이터링크 계층 | 전송, 형식 및 운영에서의 오류 제어 검색, 흐름 제어를 통하여 링크 관리 및 트래픽 제어, 데이터 충돌을 막기 위한 매체 접근 제어 기능 (IEEE 802.2, IEEE 802.3(802.3 = LAN), HDLC, PPP, X.25) |
1) 물리계층 |
: 상위 계층과 통신하는 소프트웨어로 오류 검출과 제어 기능을 갖음
: 하위 계층과 통신하는 하드웨어로 호스트 간에 전송 기회를 공형하게 부여하여 충돌현상을 제어
기능 | 설명 |
---|---|
단편화(Fragmentation) | 송신 데이터를 망 특성에 따라 일정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는 것 |
재조립(Reassembly) | 단편와에 의해 분할된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하는 것(수신자 측에서) |
캡슐화(Encapsulation) |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제어 정보를 추가⭐️하는 것(송신자 측에서) |
역캡슐화(De-encapsulation) | 데이터에 부탁된 제어 정보를 제거⭐️하는 것(수신자 측에서) |
연결제어(Connection Control) | 송수신 노드 사이에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노드 사이에 연결에 대한 설정, 유지 해제 등을 제어 |
흐름제어(Flow Control) | 송수신지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 양과 통신 속도를 제어하여 통신 라인의 혼잡 방지 |
순서제어(Ordered Delivery) | 비연속적으로 수신지에 도착한 데이터들의 순서를 조정하는 것, 송신측에서 미리 정한 데이터의 순서대로 수신 측에 전달 |
에러제어(Error Control) | 데이터의 전송시 오류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정정, 전송되는 데이터의 신뢰성⭐️ 부여 |
동기화(Synchronization) | 송수신 간에 전송 작동 주기 등 여러가지 상태를 일치화⭐️ 시키는 작업 |
주소부여(Addressing) | 송신측과 수신측을 식별시키기 위한 주소를 할당하에 데이터 전송 |
다중화(Multiplexing) | 하나의 회선을 기반으로 다수 개의 통신 업무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 |
각각 계층은 고유한 기능을 가지며 계층 간에는 상호 의존적
계층 구조에서는 통신 기능을 수직적 계층으로 분할하여 각 계층마다 다른 시스템과 통신하는데 필요한 기능들을 수행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송수신지의 각 계층은 수신지와 동등한 계층과 통신(송신지의 4계층은 수신지의 동일 계층인 4계층과 통신)
각 계층은 다른 계층의 변화가 있더라도 전혀 영향 x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서비스를 사용!)
class name | subnet mask | Prefix 방식 |
---|---|---|
A | 255.0.0.0 | /8 |
B | 255.255.0.0 | /16 |
C | 255.255.255.0 | /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