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문
- 반복횟수가 정해져있을 때 사용
- for 변수 in (문자열or리스트or튜플or range함수) (-->인덱스가있는 자료구조) :
(들여쓰기) 실행문장


- print() end속성 변경하기 !!! 컴마, end = ''


- 인덱스로 가져올때 주의!
range함수
- 필요한 숫자를 만들어내는 기능
- range(시작숫자, 종료숫자, 증감량)
- range(기본값0, 종료숫자, 기본값1)

#99~77감소하는 range함수출력
for i in range(99,76,-1) :
print(i,end=" ")
결과:99 98 97 96 95 94 93 92 91 90 89 88 87 86 85 84 83 82 81 80 79 78 77

딕셔너리

- {key : value} 한쌍으로 구성된 자료구조
- 순서가 없는 형태 (인덱스가 없다)
- {}중괄호 사용해 생성
- key 변할 수 없는 자료 : value 변하거나 불변값
- 키 값이 중복 된다면?--------가장마지막에 넣어준 값만 인정됨
- 자료가져오기 (key값 사용)
dic1['이름']
- 데이터 수정하기
dic1['이름'] = 'ㅇㅇㅇ'
- 딕셔너리에 새로운 데이터 추가하기
dic1['생일'] = '07/22'
- 딕셔너리 안의 값 삭제하기
del dic_test ['날짜']
- 딕셔너리 안의 키값만 가져오기
data1.keys()
타입 확인하면

- 딕셔너리 안에서 value값만 가져오기
data1.values()
- 딕셔너리 안에 딕셔너리 {ㅇㅇ:{ㅇㅇ:ㅇㅇ},ㅁㅇ:{ㅇㅇ:ㅇㅇ,ㅇㅇ:ㅇㅇ}}
- 딕셔너리 데이터가져오기
- key값 불러서 가져오기
dic_test['노래제목']
- get()으로 가져오기
dic_test.get('노래제목')
[key값] vs .get(key값)

차이점 없는 값입력시 - 오류로 나옴
get(key) ----없는 값이라고 알려줌 'None'

- key값, value값 모두 가져오는 방법
data1.items()
- 딕셔너리에 값이 있는지 없는지 알려주는 기능 in, not in

- 딕셔너리 안의 데이터 삭제하기
data1.clear()
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