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정리하는 문제는 백준 10171 고양이 문제이다.
🔹 단계: 새싹
🔹 분류: 출력
📌 백준_10171 고양이 문제 바로가기
예제 출력
\ /\ ) ( ') ( / ) \(__)|
💻 내가 제출한 정답 코드
print("\\ /\\")
print(" ) ( ')")
print('( / )')
print(' \\(__)|')
📌 출처 위키독스_이스케이프 문자
📌 출처 위키백과_역슬래시
위키독스에 따르면, 이스케이프 문자는 "기존에 정해진 규칙에서 벗어난 문자를 만들 때 사용"한다고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역슬래시
역슬래시
\
위키 백과를 보니 역슬래시(backslash)는 문장 부호의 일종
밥 베머라는 사람이 ASCII 문자 집합을 만들면서 추가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슬래시(slash) "/"를 반대 방향으로 뒤집은 모양
위 코드 블럭에서 작성할 때는 입력한 그대로 역슬래시가 잘 출력되지만, 일반 글에서 작성할 때는 \ 이렇게 출력된다.
왜.....?
한국 문자 체계에서 역슬래시 기호에 원화 기호를 배정해서 원화 "\" 기호로 표시되거나 입력된다고 한다. 또 윈도우에서는 \가 원화표시로 되어있다고도 하는데 같은 말인듯(오🤩)
더불어 일본도 엔화 표시도 되어있다고-
대표적인 이스케이프 문자
\n : 줄 바꿈
\t : 탭 간격 넣기
\\ : 문자열에서 역슬래시 표시
⭐ 그래서 이 문제를 풀 때에는 역슬래시가 하나만 있을 때에는 역슬래시가 문자열로서 출력이 안 되기 때문에 하나를 더 써주어야 한다.
💻 코드 에러 정리
print("\ /\")
print(" ) ( ')")
print('( / )')
print('\(__)|')
->
File "<ipython-input-5-f5c1c1593d71>", line 1
print("\ /\")
^
SyntaxError: unterminated string literal (detected at line 1)
⭐ 종류: 컴파일 에러
⭐ 문자열이 제대로 종료되지 않았다는 에러
print("\\ /\\")
print(" ) ( ')")
print('( / )')
print('\\(__)|')
->
⭐ 종류: 출력 형식이 잘못되었습니다
⭐ 공백이 안 맞았다..
📌 추가 참고 링크:
이스케이프 문자 예시
백준_질문게시판 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