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백준_새싹_반복_10950_A+B - 3

geunahellie·2023년 9월 2일
0

Algorithm

목록 보기
4/4
post-thumbnail

Hi, there!

오늘 정리하는 문제는 백준 10950 A+B - 3 문제이다.

🔹 단계: 새싹
🔹 분류: 반복
📌 백준_10950 A+B - 3 문제 바로가기


문제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A+B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5
1 1
2 3
3 4
9 8
5 2

예제 출력

2
5
7
17
7

💻 내가 제출한 정답 코드

t = int(input())

for i in range(1, t+1):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 알고가자

1. 입력받을 때, input()

📌 출처 위키독스_사용자 입출력

어떤 수를 내가 입력할 수 있게 하려면 input() 사용
input()으로 입력한 값은 기본적으로 문자열 str(string)이다.

  1. 그래서 정수형 int(integer)으로 바꾸어주려면 int(input()) 사용
  2. 두 개 이상의 값을 입력하고 그걸 나누어 각각 변수에 할당하고자 하면 input().split() 사용

2. map()

📌 출처 코딩도장_map()
📌 출처 map() 함수 사용법

내가 이해한 map() 함수는
map(내가 적용하고자 하는 함수, 반복가능한 자료형)이다.
map(function, iterable)이라고 정리되어 있는 곳도 있었다.

  • 문제에서 map(int, input().split()) 이렇게 사용하면
    input()에 2 3을 넣었을 때, 이것을 '2'와 '3' 문자열로 split() 해 준다음
    int로 한꺼번에 map()이 바꾸어준다.

  • a, b = map(int, input().split())와 같이 변수에 할당하지 않고
    map(int, input().split()) 자체만 출력하면 map 객체가 나온다. 내가 입력한 숫자들이 나오는 것이 아닌.. -> 변수 할당해 주자!

map(int, input().split())

> 2
<map at 0x7bfba3c9af20>

💻 코드 에러 정리

첫 번째

t = int(input())

a = int(input())
b = int(input())

for i in t+1:
  print(a+b) 


> TypeError: 'int' object is not iterable

⭐ 종류: int 자료형은 반복되지 않는다는 것??????
⭐ for문에 range를 안 썼다.

두 번째

t = int(input())

a = int(input())
b = int(input())

for i in range(1, t+1):
  print(a+b) 


> 5
1
1

2
2
2
2
21+125번 반복되다니...for문 안에 a = int(input()), b = int(input())를 t번 수만큼 반복되게 하면...?!

세 번째

t = int(input())

for i in range(1, t+1):
  a = int(input())
  b = int(input())
  print(a+b) 
  
 
 > 5
1
1
2

2
3
5

3
4
7

9
8
17

5
2
7

⭐ 잘 나오나 문제를 읽어보니 예제 입력이 1 1 이렇게 한 줄에 두 개의 수가 들어감. a, b = 이렇게 수정 필요

꺄 성공!
I hate programming... it works! I love programming..lol

🦘 take care!

profile
딱복 좋아하는 성실한 완료주의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