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좁은 범위에서 연결된 네트워크를 LAN(Local Area Network)라 부른다. 그리고 수많은 LAN들이 모여 세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WAN(Wide Area Network)가 된다.
: 여러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것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터네트워킹 하는 것이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이다.
: 어느 컴퓨터든 일관되게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정의한 규칙 체계
: 인터넷 통신 스위트(Internet Protocol Suite)는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데 쓰이는 통신규약의 모음이다. 이 중 현재까지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IP(Internet Protocol)에서 가져와 TCP/IP라 부른다.
TCP/IP 4계층 모델 | 주요 프로토콜 | 역할 |
---|---|---|
응용 계층 | HTTP, DNS, FTP | 애플리케이션에 맞춰 통신한다. |
전송 계층 | TCP, UDP | IP와 애플리케이션을 중개해 데이터를 확실하게 전달한다. |
인터넷 계층 | IP, ICMP, ARP, RARP | 네트워크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네트워크 접근 계층 | Ethernet, wifi | 컴퓨터를 물리적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해서 기기 간 전송이 가능하게 한다. |
: 네트워크에 연결된 특정 PC의 주소를 나타내는 체계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 IP 주소에서 네트워크부가 어디까지인지 나타내는 것
: 이더넷에서 네트워크 상의 송수신 상대를 특정하고자 사용하는 주소이다. 그리고 같은 LAN에 속한 기기끼리 통신할 때 상대의 MAC 주소를 파악하기 위해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를 사용하며, ARP는 네트워크 전체에 브로드캐스트로 패킷을 보내고 해당 IP를 가진 컴퓨터가 자신의 MAC 주소를 응답하면서 통신이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 TCP와 UDP는 TCP/IP 4계층 모델에서 IP 프로토콜의 계층인 인터넷 계층의 상위에서 동작한다. 그리고 전송 계층에 속하는 TCP와 UDP는 인터넷 계층에서 동작하는 IP와 응용 계층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중개하는 역할을 한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UDP(User Datagram Protocol) | |
---|---|---|
서비스 타입 | 연결 지향 프로토콜 | 데이터그램 지향 프로토콜 |
신뢰성 | 데이터 전송 표적 기기까지의 전송을 보장O | 표적 기기까지의 전송을 보장X |
순서 보장 | 전송 패킷들의 순서가 보장O | 패킷 순서 보장X |
속도 | UDP와 비교해 느림 | TCP와 비교해 빠르고, 단순하며 효율적 |
: 양 끝단 기기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TCP 방식이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 포트 번호는 대상 IP기기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번호로 0 ~ 65535번까지 사용할 수 있다.
포트 번호 범위 | 설명 | |
---|---|---|
Well known port | 0 ~ 1023 | 시스템 사용 번호(슈퍼유저 권한 필요 O) |
Registered port | 1024 ~ 49151 | 특정 프로토콜이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번호(슈퍼 유저 권한 필요 X) |
Dynamic port | 49152 ~ 65535 | 애플리케이션, 혹은 임시 사용 번호 |
포트 번호 | 프로토콜 이름 | 전송 프로토콜 | 설명 |
---|---|---|---|
80 | HTTP | TCP | 웹서버 접속 |
443 | HTTPS | TCP | 웹서버 접속(SSL) |
110 | POP3 | TCP | 메일 읽기 |
25 | SMTP | TCP | 메일서버간 메일 전송 |
22 | SSH | TCP | 컴퓨터 원격 로그인 |
53 | DNS | UDP | DNS 질의 |
123 | NTP | TCP | 시간 동기화 |
: 웹에 게시된 자원을 찾기 위한 브라우저에서 사용되는 메커니즘으로, 서버가 제공되는 환경에 존재하는 파일의 위치를 나타낸다.
: URL의 기본 요소인 scheme, hosts, url-path에 더해 query, bookmark를 포함한다.
부분 | 명칭 | 설명 |
---|---|---|
file://, http://, https:// | scheme | 통신 프로토콜 |
127.0.0.1, www.google.com | hosts | 웹 페이지나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이 위치한 웹 서버, 도메인 또는 IP |
:80, :443, :3000 | port | 웹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통로 |
/search, /User/username/Desktop | url-path | 웹 서버의 루트 디렉토리부터 웹 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의 위치까지의 경로 |
q=Java | query | 웹 서버에 전달하는 추가 질문 |
: 웹 사이트의 주소를 IP 주소로만 표현하면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호스트 이름과 도메인 이름으로 바꾸어 사용한다.
: 웹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유저의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보관하고, 다음 접속부터는 유저 정보를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보내서 유저를 서버가 식별하게 한다. 쿠키에 담긴 내용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에 유저가 설정했던 항목들에 대해 저장을 해서 다음에 이어서 같은 방식으로 동작하게 도와준다.
: 세션의 경우 서버에 Session-Id라는 고유 아이디를 할당해서 유저를 식별한다. 단순하고 유출되면 안되는 정보는 서버에서 관리하며 세션 ID와 매칭해서 저장해 관리한다.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세션 정보는 쿠키에서 관리하고, 실제 매칭되는 값들은 서버 측에서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SSR(Server Side Rendering): Javascript가 웹 페이지를 브라우저에서 렌더링하는 대신, 서버에서 렌더링한다. 브라우저가 서버의 URI로 GET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정해진 웹 페이지 파일을 브라우저로 전송한 후, 서버의 웹 페이지가 브라우저에 도착하면 완전히 렌더링된다.
CSR(Client Side Rendering): SSR이 서버 측에서 Javascript가 페이지를 렌더링한다면, CSR은 클라이언트에서 Javascript가 페이지를 렌더링한다.
: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는 추가 HTTP 헤더를 사용해, 한 출처에서 실행 중인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출처의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브라우저에 알려주는 체제이다.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은 HTML과 같은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 Application Layer 프로토콜이다. 그리고 HTTP는 특정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무상태성(클라이 언트와 서버가 통신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HTTP는 클라이언트나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지 않는다.)의 특징이 있다.
: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가 교환되는 방식으로 요청(Requests)과 응답(Responses)의 두가지 유형이 있다.
start line, status line: 요청이나 응답의 상태를 나타낸다.
HTTP headers: 요청을 지정하거나 메시지에 포함된 본문을 설명하는 헤더의 집합.
empty line: 헤더와 본문을 구분하는 빈 줄
body: 요청과 관련된 데이터나 응답과 관련된 데이터 또는 문서를 포함한다.
이 중 start line과 HTTP headers를 헤드라고 하고, payload는 body라 한다.
수행할 작업(GET, POST, PUT 등)이나 방식(HEAD, OPTIONS)을 설명하는 HTTP method를 나타낸다.
요청 대상(URL, URI 등) 또는 프로토콜, 포트, 도메인의 절대 경로는 요청 컨텍스트에 작성된다. 요청 형식(?와 쿼리 문자열이 붙는 origin 형식, 완전한 URL 형식인 absolute 형식, 도메인 이름과 포트 번호로 이루어진 URL의 authority component인 authority 형식, OPTIONS와 함께 *로 서버 전체를 표현하는 asterisk 형식)은 method마다 다르다.
Headers
헤더 이름 : 값 의 형태의 구조이다.
General headers: 메시지 전체에 적용되는 헤더
Request headers: fetch를 통해 가져올 리소스나 클라이언트 자체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Representation headers: body에 담긴 리소스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Body
HTTP messages의 마지막에 위치하며, POST나 PUT처럼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때 body가 필요하다.
프로토콜의 버전, 상태 코드, 상태 텍스트의 구조. HTTP/1.1 404 Not Found.
Headers
헤더 이름 : 값 의 형태의 구조이다.
General headers: 메시지 전체에 적용되는 헤더
Request headers: 위치 또는 서버 자체에 대한 정보(이름, 버전 등)와 같이 응답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갖는 헤더
Representation headers: body에 담긴 리소스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Body
HTTP messages의 마지막에 위치하며, 201, 204와 같은 상태 코드를 가지는 응답에는 본문이 필요하지 않다.
: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리소스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다.
요청 | 적절한 메서드 |
---|---|
조회 (READ) | GET |
추가 (CREATE) | POST |
갱신 (UPDATE) | PUT or PATCH |
삭제 (DELETE) | DELE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