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문 ? A(조건문이 참 일 때 출력) : B(조건문이 거짓 일 때 출력)
a값에 빈 값으로 undefined가 들어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연산하는 성격을 이용하는 평가방법
'&&(and)'연산자는 양쪽 두 조건이 '모두' true일 때만 true값을 반환
만약에 둘 중 하나가 false라면, false를 반환
따라서, 첫 조건이 false면 뒤에 조건은 볼 필요없이 false를 반환
'||(or)'연산자의 경우 두 조건 중 하나만 true라면 true값을 반환
따라서 둘 중 하나가 false라고 하더라도, true값이 있다면 true를 반환
따라서, 첫 조건을 false라면 두번째 조건이 true인지 확인해야 함
첫 조건이 true면 뒤에 조건이 false든, true든 상관없기 때문에 첫 조건만 보고 true값을 반환하게 됨
예제 1)
이런식으로 조건을 모두 적으면, 잘 판단해서 출력해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계속 논리 연산자를 쓰는 것보다. 내장함수를 쓰는게 낫지 않을까? feat. includes()
예제 2)
객체의 괄호표기법을 사용해서 출력하는게 코드가 훨씬 단순해지지 않을까?
getMeal에 매개변수로 "한식"을 담아서 호출하면 mealType은 "한식"이 되고, meal객체에서 key값인 한식을 조회해서 일치하는 key값이 있으면 value가 반환하고 없으면 "굶기"가 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