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 Spring 서버와 통신을 완료하였고 회원가입 & 로그인 로직을 처리함, 이때 로그인을 할 때 Token으로 받아왔는데 이 부분을 어떻게 처리할 지 원리가 무엇인지 알아볼 것임설명에 앞서 원래는 단순하게 서버를 기반으로 진행하는 방식을 생각함URL만 있다면
Fit-In 프로젝트 개발에서의 포인트를 짚고 정리하는 글Fit-In의 전체적인 컨셉과 주제,기획안은 완료 이를 바탕으로 UI/UX 구성 및 초안 작성 완료서버 구현은 REST API 형식으로 구현, AWS로 배포하기 전 로컬 형태로 테스트 해보면서 진행, 한 번에 바
관찰 대상의 상태가 변화하면 관찰자에게 알려줌Observer 패턴은 상태 변화에 따른 처리를 기술할 때 효과적임Observer : 관찰자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NumberGenerator : 수를 생성하는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클래스RandomNumberGenerator
프로그램은 점점 커지는 경향이 있고 많은 클래스가 만들어져 서로 관계를 맺으면서 복잡하게 됨클래스를 사용할 경우에는 클래스 간의 관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정확한 순서대로 메소드를 호출할 필요가 있음커다란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처리를 실행하려면 상호 관련된 많은 클래스를 적
일반적으로 복잡한 구조물을 세울 때 한 번에 완성시키기는 어려움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을 만들고 단계를 밟아 만들어나감이런식으로 구조를 가진 인스턴스를 쌓아올리는 것이 Builder 패턴임Builder의 경우 문서를 구성하기 위한 메소드를 결정하는 추상 클래스Di
프로그램 실행시 보통 많은 인스턴스가 생성됨 그러나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단 하나만 필요한 경우도 있음시스템 안에서 1개 밖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고 싶을 때 그럼여기서 물론 주의를 기울여 인스턴스 생성을 1회만 실행되도록 작성하여 인스턴스 1개만 생성
adapter는 adapt(개조) 시키는것, AC 어댑터의 역할은 직류 12볼트의 컴퓨터를 교류 100볼트의 환경에 맞게 바꾸는 것임이를 프로그래밍으로 생각을 한다면 이미 제공되어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을 때, 필요한 형태로 교환하고 사용하는 일이 많은데 이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