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A반 7조 KPT 회고

김지혜·2023년 8월 14일
0

1. 한 주의 흐름

1) 한 일

김동현 - 보드 기능 구현
김민준 - 리스트 기능 구현
정호중 - 사용자 기능, 카드 기능 구현
김지혜 - 카드 댓글 기능 구현

2) 느낀점

김동현 -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이전보다는 실력이 많이 늘었다고 생각했지만
아직 다른 분들에 비해 많이 모자르다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느끼게 되었고
더욱 열심히 해야겠다.

김민준 -
문제 : 팀원들간의 코드가 다르다.
원인 : 변수/함수/스타일을 통일하지 못했다.
해결책 : 프로젝트 초기에 ERD, API명세서를 만든 뒤, 모델, 마이그레이션 등을 만들 때 회원가입처럼 간단한 것하나를 다같이 만든뒤 그 스타일을 그대로 따라서 만들게한다.

정호중 -
민준님이 말한 것처럼 초기 코드 스타일(변수명, 함수명 뿐만 아니라 어떤 문법을 사용할 것인가)을 지정하고, 공유하여 이를 바탕으로 쌓아가는것이 좋겠다

각각의 코드를 저마다의 스타일로 작성하고, 나중에 하나로 합치려고하니 다른 사람의 코드가 어떤 의도로 작성한 것인지, 이 문법이 어떤 역할, 어떤 기능을 하는 것인지 이해하는데도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추가로 가능하면 하루에 한번, 적어도 이틀에 한번씩은 각각 작성한 코드를 팀원들과 공유하며 리뷰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이유는 첫번째 사항과 같이 뒤늦게 보면 이 사람의 코드가 어떤 코드인가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김지혜 -
부족한 실력이었지만 팀원분들께서 많이 도와주셔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었던 것 같다.
팀 프로젝트를 하면서 깨달은 점과 부족한 점을 정리하여 다음 프로젝트 때 개선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싶다.

2. Keep(현재 만족/ 계속 이어나갔으면 부분)

  • 정기적인 회의 실시
  • 팀원들의 질문에 답변해주는 문화
  • 상호존중하는 문화

3. Problem(문제)

1) 문제

    1. 팀원들간의 코드가 다르다.

2) 원인

    1. 변수/함수/파일 스타일을 통일하지 못했다.

4. Try(문제에 대한 해결책)

    1. 프로젝트 초기에 ERD, API명세서를 만든 뒤, 모델, 마이그레이션 등을 만들 때 회원가입처럼 간단한 것하나를 다같이 만든뒤 그 스타일을 그대로 따라서 만들게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