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figurable Secondary Calculation"
테이블 = 전체 범위패널 = 일부 범위셀 = 하나의 특정한 결과물만 찝어서측정값 우클릭 > 퀵 테이블 계산 클릭 > 원하는 것 클릭
측정값 우클릭 > 퀵 테이블 계산 > 누계
-> Quantity를 다시 화면 안으로 집어넣고 방금 만든 테이블 계산과 비교하면

Quantity에는 숫자가 그대로 표시, 밑에는 테이블(옆으로) 기준으로 Quantity의 합계 누계 (running sum)
분석 > 총계 > 행 총합계 표시
분석 > 총계 > 열 총합계 표시
분석 > 총계 > 모든 소계 추가

Central의 테이블(옆으로) 기준으로 Quantity의 합계 누계를 보면 ’15 총계에 ’16 Q1 값이 더해져서 우측으로 쭉 가고, ’16 총계에 ’17 Q1 값이 더해져서 우측으로 쭉 가고, 반복하여 ’18 Q4에 도달.
= East는 Central의 값을 갖고 가지 X. 각 지역별로 Quantity가 누계(running sum)로 계속 더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음.
테이블 계산 필드 우클릭 > 테이블 계산 편집 하면 Configuration Window가 나타남

부분
1. 계산 유형
2. 다음을 사용하여 계산 -> 계산의 범위(테이블/패널/셀)을 정하는 부분

테이블 = 전체(처음부터 끝까지), 테이블(옆으로) = 옆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테이블(아래로) = 위에서 아래로 처음부터 끝까지. 

셀 단위 바로 위의 것셀 = 분기로 잡혀 있기 때문에 패널 = 연도




셀 차원의 테이블 계산은 큰 의미가 없음. 자기 자신에 대해서만 누계를 구하면 결과 값은 자기 자신 → Quantity = 누계 테이블 계산테이블(옆으로), 패널(옆으로)는 화면에서 열과 행 선반에 잡혀 있는 위치를 기반으로 테이블 계산 수행.분기를 행 선반으로 옮기는 순간 계산 결과가 완전히 얽힘. ‘옆으로’, ‘아래로’는 상대적인 개념이기 때문.패널(옆으로)를 클릭한 상태에서 변화를 주면서도 패널(옆으로)를 계속 유지하고 싶다면 특정 차원을 클릭해 고정
각 A와 B별로: A와 B의 체크박스 비움,
C와 D에 대해서: C와 D의 체크박스 선택
~별로 = 누계가 해당 범위를 넘어서 이월되면 안됨
“특정 차원” 선택했을 때 나타나는 체크박스:
1,726 = 각 지역별, 연도별로 Quarter에 대한 누적합계
Region), ‘연도별’ (Order Date의 연도) -> 체크 해제Order Date의 분기) -> 체크 O
테이블(아래로) -> Region만 체크박스 선택
= 각 연도별, 분기별로 지역에 대한 누적합계

각 연도별로 분기(옆쪽)와 지역(아래쪽)에 대해서 누적합계

위의 예시에서 Region을 맨 밑으로 이동시킬 경우:

테이블(옆으로) = 각 카테고리별로 연도와 분기에 대해서 인덱스를 매겨라테이블(아래로) = 각 연도와 분기 별로 카테고리에 대해서 인덱스를 매겨라


RANK(SUM(Quantity))


TOTAL(SUM(Quantity))


세팅: Customer Name 행에 올리고 > Order ID 우클릭 드래그해서 카운트(고유)값으로 올리고 > 내림차순 정렬

RANK(COUNTD([Order ID]))
*COUNTD: 중복 제외하고 카운트

INDEX: 차원 sorting 자유롭다 (거꾸로 정렬 가능) vs. RANK: 그렇지 못하다
RANK(SUM([Sales]))로 바꾼 후,

RANK: View에 없는 측정값 (이 경우 Sales)에 대해서도 순위 매김 vs. INDEX: 그렇지 못함
RANK: 다양한 동점자 처리 방식 지원
RANK (1, 2, 2, 4)RANK_DENSE (1, 2, 2, 3)RANK_MODIFIED (1, 3, 3, 4)RANK_UNIQUE (1, 2, 3, 4)vs. INDEX: 그렇지 못함 (아래에, 동일한 측정값 갖고 있는 customer에 대해서도 index 다르게 매김)


RANK를 오름차순으로 만들고 싶을 때: RANK(-COUNTD(Order ID))로 바꿔주기

세팅 열: Order Date 분기 연속형 (우클릭하여 ‘2015년 2분기’ 형식으로 설정 필요), 행: 합계(Sales) 연속형

계산된 필드 만들기 > 테이블 계산 선택 시 나타나는 윈도우 함수
(1) WINDOW_AVG
(2) WINDOW_COUNT
(3) WINDOW_MAX
(4) WINDOW_MIN
(5) WINDOW_SUM
사용자 중심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계산 (customizable calculation range)
테이블 계산 안에서는 반드시 집계된 계산이 들어가야 함 (테이블 계산은 secondary calc이기 때문)
WINDOW TEST (새 계산된 필드 만들기) > WINDOW_AVG(SUM([Sales])) 적용해서 올렸을 때,

WINDOW_AVG(식, [시작, 끝])WINDOW_AVG(SUM([Sales]), FIRST(), LAST()) -> 처음부터 끝까지 평균을 내라WINDOW_AVG(SUM([Sales]), 0, 3)
(각 식에 대한 결과물은 아래 캡처 참고)

WINDOW_AVG(SUM([Sales]), -1, 1)

IF WINDOW_COUNT(SUM([Sales]), -1, 1) = 3 THEN
WINDOW_AVG(SUM([Sales]), -1, 1)
END
결과는 아래와 같음

Order Date 불연속형으로 만들어주고
WINDOW_AVG(SUM([Sales]), -1, 1) & 테이블 옆으로

WINDOW TEST의 테이블 계산 편집 열고
WINDOW_AVG(SUM([Sales]), -1, 1) & 패널 옆으로
여기에서 WINDOW TEST의 계산을 이렇게 편집하면?
IF WINDOW_COUNT(SUM([Sales]), -1, 1) = 3 THEN
WINDOW_AVG(SUM([Sales]), -1, 1)
END

Feature Scaling: 모든 value를 0에서 1 사이로 normalize 시킴(SUM([Sales])-WINDOW_MIN(SUM([Sales]))) /
(WINDOW_MAX(SUM([Sales])) - WINDOW_MIN(SUM([Sales])))
세팅:
열, 행 외에 INDEX()에서 테이블 계산 편집을 고객에 대해서 함 -> INDEX()를 사용하여 Sales 수는 너무 많이 겹치기 때문에 고객 다 보이게 퍼뜨린 것

그러면 여기에서 지역별로 최대 매출 고객 4명 확인 가능
이 상태에서 Sales-Normalized를 행에 집어넣고 Sales를 빼고 Sales-Normalized 테이블 계산을 고객에 대해서 만들어 주면, 아까 말했던 지역별 최대 매출 고객 4명이 동일 선상에서 확인 가능
(매출 규모 상대화시켜서 나타남)

참고